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올해 1월 제조업 재고율(재고량/출하량)은 120%를 기록했다. 전월 대비 2.2%포인트 올랐다. 외환위기를 겪은 1998년(123.3%) 이후 최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재고율이 뛴 2020년 5월(115.1%)보다 높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
재고는 특히 반도체에서 급속도로 쌓이고 있다. 1월 반도체 재고는 전달 대비 28% 증가했다. 세계 주요국의 인플레이션 심화와 경기 침체에 따라 스마트폰·컴퓨터·TV 등 소비가 줄어든 여파다. 통신·방송장비(22.6%), 기계장비(11.3%)도 재고가 늘었다.
대한민국이란 공장을 돌리는 3대 축인 생산·투자·소비 중 투자·소비가 한 달 전보다 쪼그라들었다. 재고가 쌓이면 신규 투자도 미뤄진다. 1월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4% 감소했다. 지난해 12월(-6.1%)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림세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는 103.9(2020년=100)로 전월보다 2.1% 감소했다. 지난해 11월(-2.1%), 12월(-0.2%)에 이어 3개월 연속 쪼그라들었다. 고물가·고금리 여파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021년 코로나19 여파로 실내 활동이 늘어 가전제품 등 내구재 위주로 급격히 증가한 소비가 최근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생산은 반전했다. 전(全)산업생산(계절조정, 농림어업 제외) 지수가 109.7(2020년=100)로 전월 대비 0.5% 늘었다. 지난해 10월부터 이어진 내림세를 플러스로 반전했다. 광공업 생산이 2.9% 늘어난 영향이다. 반도체 생산이 25.8% 줄었지만, 삼성전자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S 23’의 2월 출시를 앞두고 통신·방송 장비 생산이 111% 급증했다. 부진한 반도체 생산을 스마트폰 ‘반짝’ 특수로 메웠다는 얘기다.
한편 통계청은 최근 국내 경제의 저점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했던 2020년 5월로 잠정 설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저점 이후 86개월간 지속했던 하나의 경기 순환기가 마무리됐다. 통계청은 2017년 4분기부터 대외 환경 악화로 투자·생산·수출의 둔화가 나타나는 경기 수축 국면이 도래했다고 분석했다. 2020년 5월부터는 미국 등의 금리 인하와 양적 완화,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국내 경기가 회복됐다. 이후 최근까지 경기 확장 국면으로 볼 수 있는 셈이다.
세종=김기환 기자, 천인성 기자 khkim@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