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연계에서 이처럼 정해진 성 구분을 따르지 않는 배우 캐스팅이 벌어진다. 극 중 남성 역할에 여성 배우, 반대로 여성 역할에 남성 배우를 맡기는 ‘젠더프리’ 캐스팅이다. 한 배우가 고정 배역 없이 여러 캐릭터를 돌아가면서 맡는 ‘캐릭터프리’ 캐스팅도 활발하다.
연극 ‘아마데우스’에서 모차르트의 라이벌 살리에리 역할을 맡은 배우 차지연. 사진 커넥티드컴퍼니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남녀 구분 없이 연기력으로 승부…“입체적 해석 가능하죠”
지난달 15일 개막한 뮤지컬 ‘데미안’은 헤르만 헤세의 동명 소설을 각색했다. 고정 배역을 두지 않고 한 배우가 공연마다 다른 캐릭터를 연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연극의 두 주인공 싱클레이와 데미안을 두고, 오전 공연에서 싱클레어를 연기한 배우가 저녁 공연에서 데미안으로 변신하는 식이다.
2년 만에 새 시즌으로 돌아온 뮤지컬 ‘해적’은 배우 한 명이 남녀 캐릭터 두 명을 맡는다. 해적 선장 잭을 연기한 배우가 다음날 검투사 매리 역할을 하거나, 한 배우가 모험을 떠나는 소년 루이스와 총잡이 앤 역할을 한 공연 안에서 모두 소화한다.
이 같은 캐릭터프리 캐스팅에 대해 제작자나 배우들은 "극에 대한 출연진의 이해도가 높아지는 점"을 장점으로 꼽는다. 2인극 뮤지컬 데미안의 경우 한 배우가 데미안과 싱클레어 역을 모두 연기하면서 작품에 더 몰입한 결과 상대 배우와 호흡을 맞추기도 한층 수월해진다는 것이다. 뮤지컬 데미안에서 데미안·싱클레어 역을 맡은 홍나현 배우는 “원작 소설에서도 싱클레어가 성장하면서 데미안을 닮아가는 모습으로 그려지기 때문에 처음부터 둘은 하나라고 생각하며 연기를 했다”며 “두 캐릭터를 돌아가면서 맡기 때문에 더 입체적인 연기가 가능해지는 것 같다”고 했다.
캐릭터프리 캐스팅은 배우들에게 다양한 연기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김건표 대경대 연극영화과 교수는 “특정 역할로 인해 배우의 이미지가 고정된다면 치명적”이라며 “캐릭터프리 캐스팅은 한 편의 극에서 여러 배역을 소화하면서 다양한 매력을 표출할 수 있다는 점도 배우에게는 매력적”이라고 했다.
━
“달라진 성인지 감수성 반영”
지난해 11월 개막, 26일 폐막하는 연극 ‘오펀스’는 고아 출신 건달 해롤드가 역시 고아 형제인 트릿과 필립을 만나 서로 의지한 끝에 결국 가족이 되는 이야기다. 중심인물인 남성 건달 해롤드 역을 맡은 배우 4명 중 2명(추상미·양소민)이 여자 배우다. 형제인 트릿·필립 역을 맡은 배우 8명도 남녀가 절반씩이다.
연극 ‘오펀스’에서 건달 해롤드 역할을 맡은 배우 추상미. 사진 모티브히어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12일 개막한 연극 ‘아마데우스’도 젠더프리다. 음악 천재 모차르트와 그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살리에리의 이야기. 2021년 뮤지컬 '광화문연가'에서 젠더프리 캐스팅을 소화한 바 있는 배우 차지연과 국내 공연계에 젠더프리 캐스팅을 처음 도입한 이지나 연출이 손을 잡았다. 배우 차지연은 2019년에 이어 이번 시즌에도 모차르트의 라이벌 살리에리 역할을 맡았다.
젠더프리 캐스팅은 캐릭터프리 캐스팅과 살짝 결이 다르다. 주 관객층인 2030 여성의 예민한 성인지 감수성에 맞춰 여성 배우를 주연 역할로 빈번하게 내세우다 보니 여성 배우에게 남성역을 맡기게 된다는 시각, 남성 주인공 서사가 지배적인 공연계에서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 등이 나온다.
김건표 교수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희곡이 남성 캐릭터가 극을 이끌어나가는 설정이기 때문에 여성 배우에게 큰 역할이 돌아가지 않았다”며 “젠더프리 캐스팅은 단순히 여성에게 역할 하나 더 주는 차원이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여성의 역할이 늘어나는 시대의 요구가 자연스럽게 작품에 녹아드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극의 작품성 측면에서도 "남자 주인공 역할을 여자 배우가 맡게 되면서 작품 각색의 영역이 커지고, 그에 따른 다양한 변주가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부교수는 “젠더프리는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자는 취지에서 탄생했다”며 “신데렐라가 왕자에게 구원받는 식의 낡은 서사를 깨보자는 예술운동의 일환"이라고 했다.
원 교수는 "미국에서는 ‘컬러프리’ 캐스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고 전했다. “왜 흑인은 ‘오페라의 유령’에서 유령 역할을 맡을 수 없고, 인어공주 아리엘이 될 수 없냐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라며 “인권 문제, 소수자 문제가 공연계의 대표성 문제로 연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