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코로나 유행 때보다 매출 떨어져”… 난방비 폭탄에 24시 ‘눈물의 영업’ [뉴스 투데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영업, 관리비용 급증에 속앓이

인건비는 물론 전기·가스·수도요금↑

업주 40% “난방비 최고 30% 상승”

편의점, 24시간 영업 안 하면 불이익

인건비 아끼려 16시간씩 근무 점주도

찜질방 등선 영업시간 단축 고육지책

“에너지 바우처 혜택 등 대안 마련을”

“전기요금, 가스요금, 인건비 등이 가파르게 올라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가 한창 유행할 때보다도 매출이 20% 넘게 떨어졌어요. 가장 부담스러운 건 24시간 영업이에요.”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야심한 시각에도 도시 어둠을 밝히며 24시간 영업을 하는 편의점 점주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인건비뿐 아니라 전기·가스요금 인상으로 매장을 유지하는 비용이 급상승한 탓이다. 같은 이유에서 찜질방·사우나처럼 난방이 필수인 업장 또한 관리비용 증가로 속앓이가 심하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소비자물가지수는 129.73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3% 증가했다. 1월을 기준으로 최근 5년간 증가율이 3% 미만에 그친 데 반해 올해는 급상승한 것이다. 난방비 증가는 소상공인들의 어깨를 무겁게 하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일까지 소상공인 1811명에게 물어본 결과, 40.2%가 ‘난방비가 10∼30% 상승했다’고 답했고, 80.4%가 ‘매우 부담된다’고 답했다.

4년 전부터 편의점을 운영한 가맹점주 A씨는 “재작년 겨울 난방비가 60만원 정도 나왔는데 이번에는 100만원이 넘었다”며 “우리 지점은 코로나19가 한창 유행할 때보다 매출이 30% 이상 줄었다”고 말했다.

점주들 사이에서는 “아예 24시간 영업을 접고 싶다”는 말까지 나온다. 서울 송파구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점주 B씨는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평균 10만원 정도 수익을 낸다”며 “본사에 내는 돈과 아르바이트비까지 지급하면 남는 게 없어 이 비용이라도 아끼고자 하루에 16시간씩 직접 근무한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24시간 운영이 힘들어도 계약조건 변경 시 본사가 지급하는 물품 지원비 등 장려금이 줄어드는 불이익이 생겨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편”이라고 전했다.

김정열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 편의점분과위원장도 “대다수 점주가 24시간 영업을 원하지 않는다”며 “야간 인건비만 한 달에 300만원이 넘는데 차라리 문을 닫고 싶어 한다”고 관리비 상승 문제를 지적했다.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시간’ 간판을 내건 찜질방, 사우나 등도 난방비 폭탄에 영업시간 단축에 나서는 곳이 적잖다. 이날 강남구 논현역 인근 한 사우나는 ‘24시간 사우나’임에도 오전 6시부터 오후 11시까지 운영한다고 안내하고 있었다. 60대의 사우나 직원 C씨는 “코로나19 이후 영업이 재개됐어도 매출이 딱히 늘지 않았다”며 “전에는 아르바이트생, 청소직원 등을 썼는데 이제는 세신사와 주인이 청소랑 잡무를 다 도와서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과금은 30% 정도 올랐다고 들었다”며 “이곳은 항상 데워놔야 해 난방을 끌 수가 없어 비용 절감을 조절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고개를 저었다.

강남구의 한 찜질방에서 근무하는 백경란(55)씨는 “난방비만 평소보다 50만원이 더 나왔다”며 “사장이 찜질방 이용료를 올리고 싶어도 코로나19 이후 줄어든 손님이 더 안 올 것 같아 못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백씨는 “우리는 24시간 영업을 유지하고 있지만, 월급이 줄었고 주변에는 24시간 운영이 부담스러워 영업시간을 줄인 업장이 많다”고 토로했다.

중구에서 숙박업소를 운영하는 강영란(51)씨는 “난방비가 60만~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훌쩍 뛰었다”고 강조했다. 강씨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손님도 줄었는데 추운 날 난방을 하지 않으면 건물 관리에 좋지 않아 빈방에 난방만 하고 있다”며 “물가가 오르면서 자재비도 늘어 삼중고를 겪고 있다”고 했다.

중구에서 10년째 당구장을 운영 중인 김모(52)씨는 “보통 겨울에 많아야 50여만원 나오던 난방비가 지난달엔 83만원이 청구됐다. 10년 넘게 장사했는데 이렇게 훅 뛴 것은 처음”이라며 “달리 방법이 없으니 식비를 줄이려 한다”고 한숨지었다.

현재 정부는 취약계층에게 에너지바우처 제공과 요금 할인 등의 에너지 지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소상공인은 해당 법령에 포함되지 않아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에너지 급등 부담을 최소화할 근거를 법제화해 현재와 같은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정부 에너지 지원책이 취약계층에만 집중돼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별도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박유빈·조희연·이민경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