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물가와 GDP

에너지 수입액 '최대' 물가 환란이후 '최고' 무역 성적표는 '최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우크라 전쟁 1년 ◆

지난해 2월 24일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면서 한국 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피해가 눈덩이처럼 확산되고 있다.

러시아가 전쟁 개시 1년째를 맞아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 대한 총공세에 나선 가운데 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대외의존도가 큰 한국의 실물경제 회복에도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원유·가스·석탄을 비롯한 3대 에너지 수입액은 1908억달러로 1년 전보다 69.8% 증가해 사상 최대폭을 기록했다. 이처럼 폭증한 에너지 수입액은 고스란히 무역적자와 물가 충격으로 이어지며 기업과 가계에 큰 충격파를 안겼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국제 원자재 값 상승→무역적자·물가 급등→실질소득 감소·기준금리 인상→비용 부담 가중→소비 축소'라는 악순환에 불을 붙인 것이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으로 불리는 무역수지는 지난해 472억달러에 달하는 사상 최악의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초에도 에너지 사용량이 크게 늘어나며 적자폭이 계속 커지고 있다. 올 들어 10일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176억달러로 지난해 연간 적자의 37.1%에 달하는 몫이 한 해가 시작된 지 40여 일 만에 쌓였다. 수입물가 상승과 함께 글로벌 시장 수요 위축으로 수출 둔화까지 맞물리면서 무역적자가 쉽게 개선될 조짐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특히 에너지가격발 수입물가 상승(E플레이션)이 국내 소비자물가도 자극하는 최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외환위기 국면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고 이 같은 추세는 올해 들어서도 전력, 가스 요금 인상과 맞물리면서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다.

에너지 수급 구조상 수입에 대부분을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국의 특성 때문에 전문가들은 일단 에너지를 최대한 아껴 쓰는 것이 우크라이나 전쟁발 에너지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입을 모은다.

황윤재 한국경제학회장(서울대 석좌교수)은 "한국 경제는 대외 요인에 의존도가 높은데 물가 상승 요인이 아직 잡히지 않았다"며 "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요인으로 당분간 공급 제약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