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달 만에 다시 상승폭 확대한 물가…1월 전년대비 5.2%
가스요금 인상, 작년 10월부터 반영…난방비 폭탄 영향없어
근원물가 14년만 최대 상승…“5%대 고물가 지속될 듯”
지난달 25일 오후 서울 시내 한 30평대 아파트 우편함에 관리비 고지서가 꽂혀 있다. (사진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11(2020=100)로 전년동월대비 5.2%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전년대비 물가상승률(5.0%)보다 0.2%포인트 높은 것으로, 그해 10월 이후 3달 만에 다시 상승폭을 키웠다. 지난해 5월부터 시작된 5%대 이상 고물가가 9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물가 상승폭의 확대는 전기요금 영향이 컸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는 전년 대비 28.3% 상승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출목적별 물가 상승 기여도 역시 가장 높았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이 작년 4·7·10월에 걸쳐 kWh(킬로와트시)당 19.3원을 올린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13.1원 인상한 여파다.
김보경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월 전기요금이 전월대비 9.2%, 전년대비로는 29.5% 인상되면서 전기·수도·가스의 기여도가 지난달에 비해서 0.17% 상승했다”며 “상승 폭의 대부분을 전기요금이 차지했다고 봐도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난방비 폭탄을 안긴 가스요금 등은 1월 물가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스요금 인상은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물가지수에 반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달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 상승률은 각각 전년대비 36.2%, 34.0%를 기록했지만, 전월대비로는 동일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나타내는 근원물가의 움직임도 심상찮다.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는 5.0% 올라 전월(4.8%)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2월(5.2%) 이후 약 14년 만에 최대폭이다. 일시적 변동성이 큰 농산물이나 석유류 가격이 떨어진다고 해도 바로 물가 상승폭이 축소되기는 어려운 고물가 상황으로 해석된다.
공공요금 줄인상 등으로 당분간 5% 안팎의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서민 가계의 주름살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2분기부터 요금 인상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전기요금도 추가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는 택시요금 1000원 인상에 이어 지하철·버스 요금 인상도 예고했다. 한국은행은 이날 물가상황점검회의를 열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달에도 5% 내외를 나타낼 것으로 봤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물가는 아직 안정화된 상태가 아니다. 에너지 가격이나 공공요금 인상으로 인한 물가 상승 유인이 여전히 있다”며 “5%대 물가가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긴축적인 정책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 이미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