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이슈 취업과 일자리

40대 ‘나홀로 실직 칼바람’···47만명, 폐업이나 정리해고 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 17만7000명

올해도 경기침체 여파 구조조정 직격탄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5년간 전 연령대 중 40대만 고용률이 떨어져 취업자가 약 47만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19 등의 여파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위주로 폐업이나 정리해고 등에 따른 감소폭이 컸다. 40대 인구 중 절반 이상은 가정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 수는 17만7000명으로, 동일 세대 전체 퇴직자의 45.6%에 달했다. 올해에도 글로벌 경기침체 여파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에 고용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바탕으로 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의 고용률이 유일하게 감소했다. 40~49세의 고용률은 2019년 79.4%에서 지난해 78.1%로 1.3%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60세 이상은 4.6%포인트, 15~29세 4.5%포인트, 30~39세 2.0%포인트, 50~59세 1.8%포인트씩 증가한 사실과 대조된다.

전경련은 5년간 전체 취업자 수가 2017년 2672만5000명에서 2022년 2808만9000명으로 136만4000명 늘어나는 동안 40대 취업자 수는 46만9000명 줄었다고 밝혔다. 40대 인구 중 56.0%는 가장이다.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해 종국적으로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업종별 40대 취업자 변화를 살펴보면, 도소매업(-21.2만명), 제조업(-10.4만명), 숙박·음식업(-9.3만명), 교육서비스업(-8.2만명), 건설업(-7.4만명) 순으로 40대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5년간 코로나 사태 등으로 인해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며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 일자리가 줄어들었으며,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 감원 칼바람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40대 남성의 고용률은 2017년 92.6%에서 2022년 91.0%로 1.6%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 동일 세대 여성은 66.0%에서 64.7%로 1.3%포인트 감소했다. 여성의 경우 취학 연령대 자녀를 둔 이들의 경력단절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17만7000명으로, 동일 세대 전체 퇴직자(38만8000명)의 45.6%에 달했다. 40대 비자발적 퇴직자는 2017년 16만7000명에서 2022년 17만7000명으로 6.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38.5%에서 45.6%로 7.1%포인트 늘었다. 비자발적 퇴직자란 휴·폐업,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퇴직한 자를 뜻한다.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평균인 82.5%보다 5.2%포인트 낮은 수준으로 31위를 기록했다. 이는 일본(86.5%), 독일(86.3%), 영국(84.8%), 프랑스(84.2%) 등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올해 금융, 건설, 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면서 4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가 더욱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라며 “정부는 기업들이 일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경제활력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유미 기자 youme@kyunghyang.com, 구교형 기자 wassup01@kyunghyang.com

▶ 나는 뉴스를 얼마나 똑똑하게 볼까? NBTI 테스트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