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내달 항공방제 중지 최종 결정…환경적 우려 반영
항공방제 작업 모습.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연관 없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꿀벌 폐사 등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에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가 중지될 것으로 보인다. 항공방제 중지에 따른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방지 대안은 드론방제, 지상방제 활용과 예방나무주사 등이 될 전망이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올해부터 중지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약제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을 수렴해 내달 중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소나무재선충병은 한 번 감염되면 거의 100% 고사되는 가장 치명적인 산림병해충으로 1988년 부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전국적으로 140개 시군구에서 나타났으며 피해의 확산과 감소가 반복되는 실정이다.
약 100년 전에 피해가 발생한 일본에서는 사실상 방제를 포기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유럽에서도 재선충병 피해 확산에 따라 목재 생산 감소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소나무재선충은 자가 이동 능력이 없어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 등 매개충에 의해 전파되는 병해충으로, 방제 방법도 매개충을 구제하는 방법으로 추진된다.
매개충이 월동하는 겨울철에는 감염목 등을 벌채해 파쇄, 훈증, 소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매개충이 활동하는 봄부터 가을까지는 항공·지상방제를 통해 약제를 살포, 매개충을 구제한다.
소나무재선충병 생활사 및 연간 방제 일정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제는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에 주로 쓰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티아클로프리드 약제다.
이 약제는 채소류, 과실류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살충제로 보통독성으로 꿀벌에 대해 안전하며 기피성도 없는 것으로 국내 농약 등록기관인 농촌진흥청에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약제에 대한 사용이 제한되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약제에 대한 위해성 문제가 국회, 언론 등을 통해 제기돼왔다.
산림청은 티아클로프리드 약제와 꿀벌 폐사, 개체 감소와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면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사회적·환경적 우려를 고려해 항공방제 규모를 꾸준히 감소시켜 온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소나무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된 2014년 이후 연간 2만2000㏊ 규모의 항공방제를 2022년에는 20분에 1 수준인 1000㏊ 규모로 줄여 제주도와 경남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실행했다.
또한 국회와 언론의 지적사항을 수렴해 지난해 9월부터 '산림병해충 약제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약제 위해성 및 재선충병 방제 대체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를 토대로, 국립산림과학원 중심으로 방제 약제의 꿀벌 위해성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면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약제 사용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헬기를 활용하는 항공방제보다는 중요 보전 지역과 집단발생지 등을 대상으로 소면적 정밀 방제 효과가 높은 드론방제, 지상방제를 활용하고, 소나무류에 직접 주입해 매개충을 구제하는 예방나무주사로 보완하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산림청은 항공방제 개선안에 대해 내달 초 국내 약제 전문가를 비롯해 지자체, 임가 등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네오니코티노이드 약제의 대체약제 발굴, 매개충 구제방안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투데이/세종=노승길 기자 (noga813@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