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1묘역 전경.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립묘지 승격 20주년을 맞아 국립5·18민주묘지의 불편한 동선과 노후화한 시설을 개선하고 안장 능력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8일 국립5·18민주묘지 관리소, 5·18단체(유족회, 부상자회, 공로자회) 말을 종합하면, 지난해 5·18단체는 공법단체로 새로 출발하며 묘지 관리소 쪽에 5·18묘지 1·2묘역 통합과 함께 젊은 세대들이 자주 찾을 수 있도록 무거운 분위기를 탈피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2011년 조성한 2묘역을 가려면 주차장에서 민주의 문→1묘역 참배광장→역사의 문→숭모루를 거쳐야 한다. 이동거리가 500m에 이른다. 이런 불편함 탓에 2묘역 참배객은 적은 편이다. 한 예로 이달 1일 신년맞이 단체 참배 현황을 보면, 20건 중 단 2건만 2묘역에서 진행됐다. 2묘역은 계곡을 깎아 조성한 탓에 2020년 8월 폭우 때는 토사가 묘역으로 밀려오기도 했다.
쉼터·화장실 부족과 시설 노후화도 하루빨리 개선해야 할 사안으로 꼽힌다. 주차장 쪽 장애인 화장실은 관리소 직원들의 샤워 시설로 쓰이고 있고 조형물 ‘역사마당’과 함께 어우러지는 인공 수로와 숭모루 2층 영상관, 민주의 문 인근 분수대 등은 모두 고장이 나거나 예산이 부족해 정상 가동·운영되지 않고 있다. 추모관은 2007년 준공 이래 전시물을 한차례도 교체하지 않았다. 관리되지 않는 시설이 적지 않다는 뜻이다.
황일봉 부상자회 회장은 “그동안 5·18단체가 진상규명, 왜곡 대응 등에만 몰두한 탓에 국립묘지 환경 개선에는 신경을 쓰지 못했다”며 “가족이 없거나 찾는 발길이 끊긴 영령들을 위해서 이제부터라도 적극적으로 나서려 한다”고 말했다.
2011년 조성한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2묘역.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말 나온 묘지 관리소 용역보고서에도 5·18민주묘지에 대한 이용객들의 불만이 잘 담겨 있다. 묘지 관리소가 지난해 6월 조선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 작성된 이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0월17∼31일 안장 대상자 3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78.2%가 2묘역 안장자와 유족이 차별받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 응답자 94%는 1·2묘역을 통합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일반 참배객 151명 대상 설문에서도 5·18묘지의 접근성과 휴게시설, 편의시설이 ‘보통’ 수준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일단 연구진이 제시한 개선 방안에도 1·2묘역 통합 확장이 담겨 있다. 두 묘역을 통합하고 묘역 3800여개를 추가 조성하는 게 뼈대다. 확장 제안은 앞으로 묘역 안장 수요가 크게 늘 것이라는 점이 고려됐기 때문이다. 안장 대상자 4590명 중 현재 1묘역(778명·묘역 대비 안장률 99.4%)과 2묘역(153명·12.9%)에 안장된 이들은 1천명도 채 되지 않는다. 앞으로 안장되어야 할 이들이 수천명에 이르는 셈이다. 이외에 연구진은 현재 2묘역 자리에는 주차장과 분수대 가동을 위한 빗물 저장소 등을 설치하고,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추모 시설과 민주시민교육 체험 캠핑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5·18묘역을 5·18을 경험하지 않은 젊은 세대와의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김범태 묘지 관리소장은 “함께 투쟁했던 오월 영령들이 한곳에서 안식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 묘역 통합 방안을 찾고 있다”며 “문화·편의·휴양 시설을 확충해 5월이 아니더라도 찾고 싶은 공원 같은 장소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시설 노후화, 고장 등으로 장기간 가동되지 않은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내 분수대.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이태원서 떠난 뒤 세상에 온 너의 노래 “다시는 그곳에…”
▶▶손웅정 심은 데 손흥민 났다! “검색 아닌 사색의 힘” [인터뷰]▶▶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