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프랜차이즈 가맹점 지난해 사상 최대 증가…매출도 올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년 프랜차이즈 조사 결과’

한겨레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가 역대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상황에도 매출과 고용 모두 회복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프랜차이즈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26만개로 1년 전에 견줘 10.6%(2만5천개) 증가했다. 증가율은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후 가장 높다.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앞서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2020년에도 전년 대비 9.5% 늘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프랜차이즈에 창업 수요가 몰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종별 가맹점 수 증가율은 중식·양식 등 외국식이 38%로 가장 높았다. 김밥·간이음식(19.2%), 안경·렌즈(17.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생맥주·기타 주점은 전년 대비 2.6% 줄었다.

지난해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전체 매출액은 84조8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2%(10조5천억원) 늘어났다. 증가율은 2017년(16.9%) 이후 최대다. 비교 시점인 2020년 매출이 코로나19 여파로 통계 작성 이후 최초로 전년 대비 감소세(-0.3%)를 보인 데 따른 기저 효과로 풀이된다.

업종별 매출액 증가율은 김밥·간이음식(41.2%), 외국식(38.3%), 한식(24.2%), 안경·렌즈(22.6%), 치킨전문점(22.5%) 등의 순으로 컸다. 그러나 가정용 세탁은 셀프 빨래방 확대 등으로 12.9% 줄며 나 홀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전체 프랜차이즈 가맹점 종사자 수는 83만4천명으로 전년 대비 4%(3만2천명) 늘었다. 2020년에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5.2% 줄었다가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다만 가맹점당 종사자 수는 3.2명으로 1년 전보다 5.9%(0.2명) 줄어들었다. 2년 연속 감소세다. 통계청은 “무인 주문 도입과 대행업체를 통한 배달 외주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한겨레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프랜차이즈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은 3억2660만원으로 2020년에 견줘 3.3%(1040만원) 증가했다. 김밥·간이음식(18.5%)·치킨전문점(16.9%)·문구점(11.2%) 등의 매출이 늘고, 가정용 세탁(-13.2%)·편의점(-0.5%)·피자 및 햄버거(-0.1%) 등은 줄었다.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은 의약품이 11억3540만원으로 가장 높고, 자동차 수리(5억9040만원), 편의점(4억908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가정용 세탁(7800만원), 생맥주·기타주점(1억5800만원), 커피·비알콜 음료(1억7890만원) 등은 매출액이 적었다.

박종오 기자 pjo2@hani.co.kr

▶▶‘사과는 법원에만 한다, 성폭력 사망 유족에겐 안 한다’
▶▶제주 77㎝ 쌓인 눈…폭설·강풍에 하늘·바닷길 모두 끊겨▶▶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