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공시가 떨어져도…명동 네이처리퍼블릭 여전히 '땅값 1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 '땅값 1위'인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공시지가가 2년 연속 하락했습니다.

오늘(1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에 따르면 중구 충무로 1가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내년 1㎡당 공시지가는 1억7천410만 원으로 올해(1억8천900만 원)보다 7.9% 떨어졌습니다.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명동 상권이 타격을 받으면서 올해 공시가격이 8.5% 떨어진 이후 2년 연속 내림세입니다.

전체 면적을 고려한 내년 공시지가는 294억7천500만 원으로 300억 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다만,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는 2004년부터 20년 연속 국내에서 가장 비싼 땅 타이틀을 지켰습니다.

전국 땅값 2위인 명동2가 우리은행 부지(392.4㎡)의 내년 공시지가는 ㎡당 1억7천270만 원으로, 올해보다 7.9% 낮아집니다.

3위인 충무로2가의 옛 유니클로 부지(300.1㎡) 공시지가는 1억7천850만 원에서 1억6천530만 원으로 7.4% 하락합니다.

땅값 4위인 충무로2가의 토니모리(71㎡) 부지 공시지가 역시 1억5천640만 원으로 8.0% 떨어졌습니다.

명동과 충무로 일대 부지가 여전히 상위 1∼8위를 차지했지만, 공시지가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9위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 업무용지(747.7㎡)로, 내년 공시지가가 1억1천730만 원으로 5.0% 낮아집니다.

올해 10위에서 한 단계 올라갔습니다.

반면 서울 서초구 서초동 업무용지(662.2㎡) 공시지가는 1억1천510만 원으로 7.9% 하락하며 9위에서 10위로 내려갔습니다.

표준 단독주택 중에선 이명희 신세계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이 8년 연속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유지했습니다.

이 회장 자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280억3천만 원으로 올해(311억 원)보다 9.9% 떨어졌습니다.

이 단독주택은 연면적 2천861.8㎡규모로, 2016년 표준 단독주택으로 편입된 이후 공시가격 1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2위는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연면적 2천617.4㎡)으로 내년 공시가격이 182억 원입니다.

올해보다 11.6% 하락했습니다.

3위는 삼성그룹 호암재단이 용산구 이태원동에 보유한 삼성그룹의 영빈관인 승지원(연면적 609.6㎡)입니다.

내년 공시가격은 168억 원으로 올해보다 9.0% 내렸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SBS 카타르 2022, 다시 뜨겁게!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