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상승 속 부채 부담…부실 차주 시한폭탄
카드론 수요층, DSR 규제 영향권 현금서비스行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코노믹데일리] 금융권 전반에 드리운 폭풍우가 쉽사리 가시지 않는 가운데 2023년 새해를 맞는 카드업계 실적 전망도 어둡다는 분석이 대체적이다. 수익성과 건전성 지표에 모두 적신호가 켜지면서다. 통화당국의 금리 인상 기조에도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부채 부담이 늘면서 카드사별 한계·부실 차주가 속출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7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국내 카드사의 올해 당기순이익 총합은 2조6000억가량으로 예상된다. 작년 대비 1000억원 줄어든 것에 불과하나, 이 같은 감소세는 2020년 총순익 2조원에서 2021년 2조7000억원까지 급증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쪼그라든 수익성은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대표적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보면 △2019년 카드업계 평균 6.1% △2020년 7.5% △2021년 10.4% 등 오름세를 보였으나 올해 들어 8.5%로 꺾였고, 내년에는 7.5%대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카드사들은 당장 조달비용 상승에 걱정이 태산이다. 당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제동을 걸고 한 번에 0.25%포인트씩 올리는 통상적 '베이비스텝'을 밟는 등 속도 조절에 나섰어도 우상향 곡선은 최소한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런 금리 상승 여파로 여전채 금리가 짧은 기간 동안 오르자 카드사별 조달비용은 급증했고 수익성 악화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회사별 순익에 톡톡히 한 몫해 온 서민형 여신상품인 카드론이 직격탄을 맞고 내년 실적에 악영향을 미칠 공산이 커졌다.
금융감독원이 취합한 카드사별 카드론 사용률을 집계한 결과, 업계에서는 올해 -10%대로 바닥을 찍고 내년 역시 '마이너스' 수준에 머무를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문제는 카드론 수요층이 금융당국의 여신 관련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현금서비스로의 행렬이 이어진다는 점이다.
당국이 역대급 수위로 가동 중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현금서비스 특성상 이자 부담에 허덕이는 수요층이 몰리는 형국이다. 이를 두고 이복현 금감원장도 최근 "경제위기 상황에서 저신용 서민 자금 수요가 몰릴 수 있는 현금서비스 등 DSR 사각지대 상품을 중심으로 여신전문사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정이 이렇자 카드업계는 내년에도 미래 위기관리용 대손충당금에 안간힘을 쏟을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초단기 대출 상품인 현금서비스가 극성을 부린다면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상승, 결국 카드사 건전성을 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업계 관계자는 "일종의 풍선 효과로 이자를 제때 갚기 어려운 중·저신용자들이 현금서비스로 쏠리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카드론에 비해 현금서비스는 고금리 고객 비중이 높은데, 이외에도 신용판매 등 카드사 주요 상품 연체율도 주시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신병근 기자·박이삭 인턴기자 sbg@ajunews.com
- Copyright ⓒ [이코노믹데일리 economidaily.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