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화물연대 총파업

[팀장시각] 한참을 잘못 짚은 ‘화물연대’ 파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결국 잘못 짚은 꼴이 됐다. 상대는 바닥을 기는 지지율의 대통령, 분연히 맞서면 모두가 깃발 아래 모일 것이라는 그들의 기대는 빗나갔다. 여론의 싸늘한 시선 아래 노동자들은 하나 둘씩 현장으로 복귀하고 있다. 파업은 공존이 전제가 돼야 힘을 얻는다. ‘너의 아픔이 언젠가 나의 아픔이 될 것’이라는 대중의 공감이 없으면 파업은 성공하기 힘들다. 욕망만 부각되는 파업이라면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은 물론 연대가 끊어지는 것 역시 필연이다.




화물연대는 지난 6개월 동안 악화된 경제 상황은 사실상 무시한 채 파업에 돌입했다. 공존을 위한 대중의 묵인이 파업의 대전제라면, 화물연대의 파업은 처음부터 명분이 약했다. 정부의 합의안을 걷어찬 화물연대의 주장에는 대중과의 공존보다 욕망이 도드라졌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영구 도입과 적용 품목을 철강, 택배 등 5개 분야로 확대하길 요구하고 하며 정부의 안전운임제 일몰제 3년 연장안을 걷어찼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기사가 과로·과속·과적운행을 할 필요가 없게끔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이를 어기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매기는 제도다. 2020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에만 일몰제로 한시 도입돼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었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이른바 3고(高)시대를 마주한 대중의 비명은 노골화된 욕심에 묻혔다. 경영단체들이 추산한 수천억원의 천문학적 피해액에 대중은 오히려 귀를 기울였다. 물류비용이 고스란히 물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그러는 동안 ‘생존권 투쟁이 아닌 정치파업’이라는 정부 여당의 목소리는 힘을 얻었다. 실제로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가 지난달 28∼30일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최근 화물연대 및 지하철노조의 파업에 ‘경제에 악영향을 주므로 자제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58%였다. ‘정당한 단체행위로 문제될 것 없다’는 응답률은 34%에 불과했다. 파업 이탈 조합원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시멘트 운송을 거부한 운송업체 33곳과 791명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내렸고, 이 가운데 운송업체 29곳과 화물차주 175명이 복귀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치를 떨게 하는 그들의 투쟁 방식에도 대중은 등을 돌렸다. 그들의 눈에는 파업하지 않을 동료의 선택은 ‘폭력’으로 눌러야 하는 악이었다. 계란을 투척해 비노조원들의 업무를 방해하는가 하면, ‘쇠구슬테러’를 저지르기도 한다. 경찰이 현재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수사를 진행하는 사안만 20건이 넘는다. 쇠구슬을 발사한 노조원 일부는 구속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시멘트 운송 거부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이 발동된 뒤 오르고 있다는 여론조사가 이어진다. 여론이 적어도 파업에 있어서는 ‘엄정한 법집행’을 외친 윤 대통령 편이라는 얘기다.

업무개시명령에도 파업스크럼을 풀지 않고 있는 노조원들은 여전하다. 이들은 6일 예고된 민주노총의 총파업으로 파업의 불씨를 살려가겠다고 벼르고 있다. 공교롭게도 6일은 12년 만에 열리는 월드컵 16강이다. 총파업은 대중의 철저한 무관심 속에 끝날 가능성이 크다. 위로가 필요한 계절, 대중은 그들의 욕망보다 대한민국 대표팀의 승전보가 듣고 싶다.

coo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