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24일 오후 부산 남구 한 화물차 주차장에 운행을 멈춘 트레일러들이 주차돼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와 적용 차종?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이날 0시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송봉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화물연대 파업 첫날인 24일 전국의 산업 현장 곳곳에서 피해가 커지고 있다. 파업 참여자들이 운송을 거부하면서 제품을 출고하지 못하는 공장도 생겨나고 있다. 물류가 실핏줄에 비유되는 만큼 파업이 장기전에 접어들 경우 경제 전반으로 부작용이 확산하는 건 시간 문제란 지적이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영구화와 적용 차종과 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며 이날 오전 0시 파업에 돌입했다.
철강 업계에선 파업으로 제품 출고가 멈췄다. 현대제철 포항공장은 이날 제품 출하를 전혀 하지 못했다. 이 공장에선 하루 평균 8000t을 출하하는데 파업 사태로 꼼짝을 할 수 없었다. 화물연대 포항지부 조합원 1000여 명은 이 공장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총파업에 돌입했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도 화물연대 파업 출정식으로 정문 앞 도로가 막히면서 육상 운송을 통한 철강재 출하가 전면 중단됐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물류가 완전히 막혀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면서 “출하가 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
시멘트 업계에서도 파업으로 인한 출고량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육로로 시멘트를 운반하는 시멘트 트레일러 운행이 대부분 중단됐다. 강원도 삼척에 있는 삼표시멘트는 이날 해상으로만 시멘트 2만5000t을 출하했다. 이 공장에선 육로와 해로로 하루 평균 시멘트 2만7000t을 출하하는데 육로가 막히면서 해로만 이용해 시멘트를 출하했다.
강원도 동해의 쌍용시멘트 역시 육상 출하가 막히면서 철도를 통해 이날 4000t가량만 먼저 출하한 상황이다. 강릉 한라시멘트도 생산량 중 일부만 출하했다. 한라시멘트는 하루 평균 2만5000t을 출하하지만 이날은 평소의 5분의 1 수준인 5000t 출하에 그쳤다.
한국시멘트협회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지난 6월 운송 거부로 시멘트 매출 손실이 1061억원에 달하는 등 업계는 최악의 위기 상황에 직면한 바 있다”며 “명분 없는 운송 거부 행위를 단호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탁송차 중단 장기화에 대비해 ‘로드 탁송’을 준비하고 있다. 현대차 울산공장에선 완성차를 각 지역 출고센터로 탁송하는 '카캐리어' 조합원들이 파업에 참여했다.
이에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울산공장과 광주공장에서 생산되는 차량을 인근 출고센터까지 탁송하는 아르바이트생 800명가량을 모집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트럭도 수소문하고 있다. 정유 업계도 파업 진행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휘발유 등 유류 제품 출고 지연에 대비하는 중이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24일 오후 광주 서구 기아 오토랜드 광주2공장 완성차주차장에서 카캐리어 가동률이 떨어지며 완성차가 쌓여가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주요 항만에도 비상이 걸렸다. 전남 광양항터미널은 입구를 막은 트레일러 차량으로 화물 운송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평택항과 당진항도 파업 여파로 컨테이너 부두 하역사와 육상운송 회사 대부분이 운영을 중단했다. 부산항 등에선 수출 화물 선적 반입 가능 기준일을 기존 3일에서 5일로 완화해 파업에 대비하는 중이다.
다만 정부는 이날 물류 수송에 큰 차질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전국 12개 항만의 컨테이너 장치율이 이날 오후 5시 현재 64.2%로, 평상시 64.5%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컨테이너 반출입량(오전 10시∼오후 5시)은 1만4695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로 평상시 3만6655TEU보다 60%가량 줄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한국무역협회 등 경제 6단체가 이날 화물연대 파업을 강력하게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경제 6단체는 “수출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화물연대의 일방적인 운송 거부는 즉각 철회하고, 안전운임제는 폐지돼야 한다”며 “집단 운송 거부가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무역 업계에 큰 손해를 끼치고 결국 우리 경제를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기헌・이희권 기자 emckk@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