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는 올해말 일몰 예정인 안전운임제를 지속 시행하고, 대상 품목도 수출입 컨테이너와 시멘트 외에 철강재 등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며 이날 총파업에 돌입했다. 안전운임제는 거리에 따라 화물차주의 최소 운임을 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물류업계 최저임금제’라고도 불린다. 다만 화주단체들을 중심으로 도입 취지와 달리 안전 운행 효과가 크지 않고, 물류비용만 증가시킨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안전운임제를 두고 공방이 이어져 왔다.
24일 부산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권오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화물연대는 총파업으로 요구 사항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전부터 화물연대 16개 지역본부가 차례로 출정식을 열었다. 부산 신항 앞에서도 화물연대 부산지역본부 조합원 등 노조 추산 1000여명이 모여 집회에 나섰다. 붉은 띠를 머리에 두른 조합원들은 “화물연대 총단결로 안전운임 사수하자” “안전운임 훼손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한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송천선 화물연대 부산지역본부장은 “지난 6월 안전운임제를 두고 정부가 대화를 약속한 뒤 대안을 내놓지 않았다”며 “파업을 선언하자 뒤늦게 당정이 일몰제 연장안을 내놓았지만, 화주 처벌 조항을 뺀 채 화물 노동자를 갈라치려는 꼼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회를 더는 믿을 수 없다”며 “부두를 봉쇄하고 비조합원들도 우리의 뜻에 동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투쟁하겠다”고 했다.
부산 신항은 파업에 대비해 더 바쁘게 움직였다.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지난 17일~23일 부산 신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29만2229TEU(1TEU=20피트 컨테이너)로, 그 전주보다 12.1%(3만1564TEU) 많았다. 파업 전에 미리 컨테이너를 갖다 놓으려는 화주들의 수요가 컸던 것으로 풀이된다.
항만운영사도 컨테이너를 미리 반입해 물류난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에 나섰다. HMM과 한진의 부산 신항 컨테이너 터미널들(HPNT·HJNC)은 컨테이너 반입 기간을 7일로 늘렸다. 2부두를 운영하는 부산신항만(PNC)은 아예 반입 기간 제한을 없앴다. 부산항만공사 역시 비상대응기구를 운영하면서 컨테이너를 장치(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24일 부산 신항 앞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부산지역본부 출정식에 참여한 조합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권오은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 신항 현장에선 파업이 일주일 이상 길어질지를 관건으로 보고 있다. 화물연대가 지난 6월에 8일 동안 파업을 진행했을 때도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율이 운영에 지장을 주는 80%대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기준 부산항의 시간당 컨테이너 물동량은 500여TEU로 전날보다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물류업계 관계자는 “지난 6월 파업 때와 달리 일감이 줄고 있어 비조합원 화물차주들의 파업 참여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도 “안전운임제 일몰까지 한달여 남은 상황에서 화물연대가 물러서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도 강경한 입장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화물연대 집단 운송거부에 따른 대국민 담화문’를 통해 “화물연대는 자신들의 일방적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이기적인 운송 거부를 강행하고 있다”며 “심각한 위기까지 초래한다면 업무개시명령도 발동하겠다”고 했다. 이어 “운송 거부자에 대해서는 지자체와 과태료를 부과하고, 운송 방해와 협박 등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끝까지 추적해 무관용 원칙으로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권오은 기자(ohe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