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한·미·일 회담’ 향해 쏜 북 미사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 최선희 외무상 ‘군사 대응’ 담화 100분 만에 동해로 ‘1발’

3국 ‘확장억제 강화’ 반발…미 전략폭격기 훈련 견제 분석도

동창리 위성발사장 개·보수 정황 포착…고강도 위협 가능성

경향신문

8일 만에 또 발사 시민들이 17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17일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1발을 발사했다. 한·미·일 정상이 대북 확장억제 강화 방침을 밝힌 데 반발하며 ‘군사적 대응’을 언급한 직후 행동에 나선 것이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이날 오전 10시48분쯤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SRBM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미사일 비행거리는 약 240㎞, 고도는 약 47㎞, 속도는 약 마하 4(음속 4배)로 탐지됐다. 북한이 최근 개발한 고체연료의 KN 계열 미사일로 전해졌다. 이 미사일은 북한이 SRBM 타격 목표로 자주 사용하는 함경북도 길주군 앞바다의 무인도 ‘알섬’을 향해 날아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지난 9일 평안남도 숙천에서 동해상으로 SRBM 1발을 발사한 뒤 8일 만이다. 합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으로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한·미는 이날 서애류성룡함 등 양국 이지스 구축함이 참여한 가운데 여러 탐지 자산을 통합해 연합 미사일 방어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은 북한 미사일 발사 전에 시행됐으며, 지속해오던 훈련이라고 합참은 설명했다. 다만 북한이 이 훈련을 포착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발사는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한·미·일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비난 담화를 발표한 지 약 1시간40분 만에 이뤄졌다. 지난 6월 제1부상에서 승진한 최 외무상은 첫 공개 담화를 통해 “미국이 ‘확장억제력 제공 강화’에 집념하면 할수록, 조선반도(한반도)와 지역에서 도발적이며 허세적인 군사적 활동들을 강화하면 할수록 그에 정비례하여 우리의 군사적 대응은 더욱 맹렬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최 외무상은 그러면서 “며칠 전 미국과 일본, 남조선이 3자 수뇌회담을 벌려놓고 저들의 침략적인 전쟁연습들이 유발시킨 우리의 합법적이며 당위적인 군사적 대응 조치들을 ‘도발’로 단정하면서 ‘확장억제력 제공 강화’와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에 대해 횡설수설한 데 대하여 엄중한 경고 입장을 밝힌다”고 했다. 한·미·일 정상이 지난 13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3자 정상회담 결과를 정면 저격한 것이다. 3국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대북 확장억제 강화를 위해 협력하겠다”면서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국제사회의 강력하고 단호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대진 원주한라대 교수는 “다자회담 기간에 국면 전환의 출구가 제시되지 않은 가운데 (강화된) 한·미·일 협력구도에 (북한이) 적극 불만을 표시했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군사적 대응과 관련해 주도권을 절대 뺏기지 않으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최 외무상 담화가 지난 5일 한반도 상공에서 훈련하고 전날 일본 미사와 공군기지에 전진 배치돼 훈련한 미 공군 B-1B ‘랜서’ 전략폭격기를 동시 견제한 것이란 분석도 있다.

향후 북한이 한·미·일 안보협력 움직임에 따라 고강도 위협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최근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로 전용할 수 있는 로켓 개발 시설인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미사일 수직 엔진 시험대 개보수를 시작한 정황이 포착됐다. 군 당국은 북한이 추가 핵실험 준비도 마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박은경·박광연 기자 yama@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