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이슈 물가와 GDP

고물가·금리인상 가계 덮쳤다…실질소득은 줄고, 이자부담은 껑충, 소득격차는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구당 월평균 실질소득이 5분기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소득증가가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인데 감소폭이 3분기 기준 13년만에 가장 컸다. 이자비용 지출은 20% 가까이 늘며 금리상승 영향이 본격적으로 가계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지원금이 종료되자 저소득층은 명목소득도 줄었다. 그러면서 고소득층과의 소득격차가 다시 벌어졌다.

17일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 자료를 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86만9000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3% 증가했다.

하지만 물가 변동을 감안한 월평균 실질소득은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분기 기준으로는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3분기 -3.1% 이후 가장 감소폭이 컸다. 통계청은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이 비슷하게 가다가 지난해 3분기부터 벌어지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소비자 물가가 높아졌다”면서 물가상승이 실질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명목소득을 기준으로 보면 근로소득(5.4%)과 사업소득(12%)은 전년동기대비 증가했다. 이전소득(-18.8%)은 지난해 지원금 지급의 기저효과로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 정부는 전 국민 하위 88%에 해당하는 가구에 1인당 25만원씩 지급했는데 이 효과가 사라진 것이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70만2000원으로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6.2% 증가했다. 하지만 실질소비지출은 0.3% 늘어나는데 그쳤다. 물가상승으로 지출액이 늘어났을 뿐 실제 구매량는 제자리를 맴돌았다는 뜻이다.

음식·숙박(22.9%), 오락·문화(27.9%), 교통(8.6%), 교육(8.2%), 의류·신발(15.3%) 등에서는 지출이 증가했다. 하지만 식료품·비주류음료(-5.4%), 가정용품·가사서비스(-9.1%) 등에서 지출이 감소했다. 식료품 지출이 감소한 것은 물가상승으로 다른 지출이 크게 늘어났고, 코로나19 ‘집콕’ 현상이 종료되면서 직접 요리하는 식품 구매가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세금이나 의료보험같은 비소비지출은 6.6% 늘었다. 이자비용이 19.9%로 가장 많이 늘었는데, 분기 기준으로 보면 2018년 3분기 28.7% 이후 증가폭이 가장 크다. 금리인상으로 대출이자 부담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385만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 증가했지만,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4만8000원으로 6.6% 감소했다. 가계 흑자액이 감소한 것은 2021년 2분기(-13.7%) 이후 5개 분기 만에 처음이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가구인 적자가구 비율은 25.3%로 4가구 가운데 1가구 꼴이었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만 소득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했다.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3만1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 감소했고, 2~3분위 월평균 소득은 2.6~2.8% 늘었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41만 3000원으로 3.7% 증가했다.

저소득층 가구의 소득이 줄고, 고소득층 가구 소득은 늘면서 소득분배 지표는 악화됐다. 5분위 소득이 1분위 소득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5분위 배율은 5.75배로, 지난해 5.34배에 비해 높아졌다.

통계청은 “작년까지는 국민지원금이 1분위, 하위 88%에만 주다보니까 1분위 소득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올해는 (지원금이) 사라지면서 1분위 효과도 사라지면서 분배지표가 나빠지는 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득감소에 따라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0만2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0.9% 감소했다. 5분위는 807만100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2% 증가했다.

이호준 기자 hjlee@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