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전문가 70% "이번주 금리인하"…10월 '10명' vs 11월 '4명'[금통위 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수부진-물가안정 속 가계빚 우려 완화 "인하 설득력↑"

"10~11월 첫 인하 이후 빠른 추가 인하는 어려워" 공감대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8월 22일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이번 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한 전문가들이 10명 중 7명꼴로 나타났다.

이번 통화 긴축기 들어 최초의 인하가 '이달' 단행된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 셈이다.

7일 <뉴스1>이 채권 전문가 14인에게 설문한 결과, 10명이 오는 11일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연 3.50%에서 3.25%로 0.25%포인트(p) 인하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전체의 71.4%가 10월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한 것이다.

예상대로 들어맞으면 지난해 2월부터 올해 8월까지 13회 연속으로 이어진 기준금리 동결 행진은 대략 1년 반 만에 끊기게 된다.

10월 인하를 예측한 전문가들은 내수 부진과 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되는 가운데 가계대출 월간 증가 규모 등 금융 안정 관련 우려가 한풀 꺾이면서 한은의 조기 금리 인하가 보다 설득력을 지니게 됐다고 강조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말 신성환 금통위원의 간담회와 금융안정보고서 설명회 등을 통해 첫 금리 인하 시점은 10월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한은의 자세는 8월 말~9월 초보다 확연히 완화됐고, 금융 안정을 이유로 금리 인하를 미루겠다는 결기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

허정인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현 성장·물가 여건에서 기준금리 3.5%는 지나치게 높다"며 "인하의 유일한 걸림돌이 가계부채인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을 기점으로 부채 증가 속도가 둔화할 수 있고 한은은 11일 금통위 전까지 부채 증가 속도 둔화에 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1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물가 안정 흐름이 탄탄해 보인다는 점도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6%로 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한은의 안정 목표인 2%를 밑돈 터라 물가 측면에서는 인하 요건을 충족했다.

지난달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빅 컷(정책금리 0.5%p 인하)' 등 주요국 통화정책 방향 전환도 한은의 인하를 지지하는 요인이다.

나머지 전문가 4명은 11월 인하를 예상했다.

최근 2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줄었으나, 아직 가계부채에 대한 걱정을 손에서 놓긴 이르다는 지적 때문이다.

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10월과 11월 인하 가능성을 3 대 7 정도 확률로 본다"면서 "9월 가계대출 증가 폭이 4조 원 수준으로 줄었지만, 추석 연휴 등에 따른 영업일 감소를 감안하면 증가세가 여전하고 지난 5~6월보다도 높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10월 가계대출 데이터도 사실상 닷새 정도만 볼 수 있어 추세적인 가계부채 증가 흐름을 보기엔 부족하다"며 "집값도 후행적으로 봐야 해 11월 인하에 무게를 둔다"고 덧붙였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금통위는 정부와의 부동산 정책 공조를 위해 매파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금리 동결과 인하 소수의견 1~2명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뉴스1

ⓒ News1 김초희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첫 인하 시점은 10월과 11월로 양분된 양상이지만, 첫 인하 이후의 금리 인하 속도가 좀체 빠르기 어렵다는 판단은 거의 모든 전문가 사이에서 일치했다.

신얼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연내 기준금리 1회 인하 이후 2025년 추가 2회 인하가 전망된다"며 "3회 이상의 인하는 미국의 움직임이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10·11월 연속 인하 전망을 유지하고 있으나 인하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을 고심 중"이라면서 "한은은 금리 인상기 때 인상 폭이 미국보다 훨씬 작았고(3%p 인상 대 5.25%p 인상) 금통위가 금융 불균형에 유의하는 상황인 데다 물가 불확실성이 잠재하는 점도 부담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은 금통위는 2020년 3월 코로나19 확산 대응을 위해 당시 1.25%였던 기준금리를 0.75%로 내린 이후 같은 해 5월 사상 최저인 0.50%까지 기준금리를 낮췄다.

이듬해인 2021년 7월부터는 기준금리 인상에 돌입, 특히 2022년 7·10월 '빅 스텝(한 번에 0.5%p 인상)'을 단행하는 등 사상 유례없는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려 10년 만에 3%대 기준금리 시대를 열었다.

올 초 시장에서는 부진한 내수와 물가 안정 상황 등을 봤을 때 올해 4~5월에도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하다는 시각이 소수 존재했으나, 부족한 물가 안정 확신 등에 인하 기대 시점은 점차 7~8월로 밀렸다.

뒤이어 5월 말부터 시작된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등 금융 불안 우려에 7~8월에도 금리 인하는 어려울 수 있다는 분위기가 강해졌다.

하지만 9월부터 적용된 2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와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 등 정부 거시 건전성 정책 영향으로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8월 8조 9000억 원에서 9월 5조 6000억 원까지 축소됐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