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美서 공급차질에 석탄발전 확대까지···민간 LNG발전소 고사 위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美 LNG 수출기업 화재 복구 지연

한전, 석탄발전상한제 완화 등 악재

원가 치솟은 LNG발전 경쟁력 잃어

국내 민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사의 발전설비가 멈추어 설 위기다. 세계적인 LNG 수급난에 더해 미국 LNG 수출기업 프리포트LNG의 화재 복구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한국전력이 최근 발표한 ‘석탄발전상한제 완화’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2년 3개월 만에 30배 넘게 뛴 국제 LNG 가격은 민간 발전사는 물론 전력을 사들이는 한전으로서도 큰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한전이 값싼 석탄발전량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히면서 4분기에는 국내 LNG 발전사 가동률이 바닥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6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민간 발전사 중 하나인 SK E&S는 지난 6월 8일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프리포트 LNG 터미널 화재 복구 지연으로 인해 수급 차질을 빚고 있다.

프리포트는 미국 LNG 수출 중 20%를 책임지는 기업으로, 국내에서는 SK E&S가 연간 최대 220만t(톤)까지 매입할 수 있는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LNG 수급이 빠듯해진 만큼 SK E&S가 프리포트 측에서 지난 4개월간 공급받지 못한 물량은 최대 70만t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SK E&S LNG 발전소는 광양, 파주, 하남, 위례 등 4곳에 위치해 있다. 올해 상반기 이들 4곳의 발전량은 9783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기(1만2665GWh) 대비 22.76% 감소했다. 평균 가동률(가동 시간 기준)이 80.34%에 육박함에도 생산능력 대비 생산량은 59.5%에 그쳤다. 본격적인 공급 물량 차질이 생긴 하반기 가동률과 생산량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민간 발전사가 생산하는 전기는 한전이 구매하는데 매일 기업이 생산 가능한 물량을 한전에 보고하면 한전이 필요한 전력을 계산해 기업에 전기 공급 지시(급전지시)를 내리게 된다.

한전이 지불하는 전력도매가격(SMP)은 가장 발전단가가 높은 발전소를 기준으로 책정된다. 이에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급전지시는 발전단가가 낮은 곳을 우선해 내린다. 즉 발전단가가 지나치게 높으면 한전이 민간 LNG 발전사에 급전을 요구하지 않게 되고 LNG 발전사도 수익을 올릴 수 없는 구조다.

올해 상반기까지는 SK E&S가 프리포트와 맺은 장기공급계약으로 인해 치솟은 가격에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LNG를 구입해 발전 단가는 낮출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프리포트 측 공급 차질로 인해 이마저도 힘들어진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SK E&S는 프리포트를 대체할 공급처를 물색하고 있지만 프리포트 측 LNG 가격과 비교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에 사들여야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SK E&S 관계자는 “다양한 LNG 도입 포트폴리오를 통해 프리포트 물량 공백 최소화를 위해 노력 중이지만 이번 사고로 인해 국내로 들여올 LNG 물량에 일부 도입 차질이 발생했다”며 “이에 따라 당사 운영 발전소에서 급전순위 하락과 가동률 저하 등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설상가상으로 한전이 석탄 발전량을 늘린다고 발표하면서 LNG 발전소에 내려질 급전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국가적 에너지 수급 위기에 환경오염을 감수하고서라도 LNG 발전량을 줄이고 석탄 발전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한전 측 계획은 SK E&S뿐 아니라 대형 민간 발전사인 GS EPS, 포스코에너지에도 매출 하락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중소 LNG 발전사는 급전지시를 전혀 받지 못하는 곳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환경오염을 신경 쓰지 않기로 한순간 원료 가격이 급등한 LNG 발전은 경쟁력이 없다고 봐야 한다”며 “4분기에는 사실상 LNG 발전소들이 전기는 판매하지 못하고 열만 만들어 팔아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SK E&S의 광양천연가스발전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주경제=김성현 기자 minus1@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