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미술의 세계

조선시대 관리의 묘지석, 일본서 귀환…재일한국인 사업가 기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본 거주하는 김강원 씨,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 등 사들여

"조선 시대사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한국국학진흥원서 관리 예정

연합뉴스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 전체 모습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일본으로 건너가 불법적으로 거래되던 조선시대 묘지(墓誌) 2점이 한국인 사업가의 도움을 받아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일본에 거주하는 사업가 김강원(54) 씨가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와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를 각각 의성김씨 문중과 경주이씨 문중에 기증했다고 28일 밝혔다.

두 묘지는 이날 오전 11시 경북 안동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열리는 기증·기탁식에서 공개한다.

묘지석 혹은 지석이라고도 부르는 묘지는 죽은 사람의 행적을 적은 돌이나 도자기 판을 뜻한다.

조선시대에는 장례를 치를 때 관과 함께 묘지를 매장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고인을 기록하는 설명일 뿐 아니라 시대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유물로 여겨진다.

연합뉴스

'백자청화 김경온 묘지' 첫번째 장과 측면 모습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백자청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묘지의 주인은 김경온(1692∼1734)으로, 조선 영조 재위기인 1726년 진사시에 1등으로 합격해 건원릉 참봉(參奉)으로 임용된 인물이다.

참봉은 능(陵)이나 원(園) 또는 종친부·돈령부 등 여러 관아에 속했던 종9품 벼슬로, 김경온은 관직에 오른 뒤 곧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후학 양성에 전념한 것으로 전해진다.

1755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의 묘지는 총 5장으로 된 구성이 완전히 남아있어 주목할 만하다.

희고 부드러운 백토로 만든 판 위에 청화 안료를 사용해 정자로 바르게 쓰인 묘지문이 남아있다.

특히 이 묘지는 조선시대 사옹원(司甕院·음식에 대한 일을 맡던 관아)에서 쓰는 사기를 만들던 분원(分院)에서 청화백자 묘지를 사적으로 구워 만들었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도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연합뉴스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 모습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는 조선시대 무관으로 활동한 이성립(1595∼1662)의 묘지이다.

묘지 내용에 따르면 이성립의 본관은 경주이나 그가 묻힌 장지는 평안도 철산 지역으로, 지금의 북한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재단 관계자는 "다른 묘지와 비교하면 내용이 간결한 편이나 17세기 후반 조선 변방 지역에서 활동하던 무관들의 혼맥과 장례 등 생활사를 살피는데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이성립 묘지는 철사 안료를 써 문양을 내는 철화(鐵畵) 기법과 음각을 활용했고, 2장의 묘지가 분리되지 않도록 마주 포개어 묶는 데 쓴 것으로 보이는 구멍이 뚫려 있어 제작 방식 또한 독특하다.

두 묘지의 귀환에는 일본 도쿄에서 고미술 거래업체 '청고당'을 운영하는 김강원 씨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김 씨는 지난해 일본의 문화재 유통 시장에서 조선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묘지가 거래되는 것을 발견한 뒤 한국으로 돌려보내고자 직접 유물을 사들였고 재단에 기증 의사를 밝혔다.

그는 어떠한 보상이나 조건 없이 기증 의사를 밝히면서 '당연히 한국으로 돌려보내야 하는 유물로 생각한다'는 뜻을 전했다고 재단은 밝혔다.

두 문중은 기증 의사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유물을 기탁하기로 했다.

이번에 돌아온 묘지는 기록문화유산 전문 연구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조선 시대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쓰일 예정이다.

연합뉴스

'백자철화 이성립 묘지' 두번째 장 뒷면 모습
[문화재청·국외소재문화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