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 자백

진실화해위, 마산 3·15의거 참여자 고문피해사건 등 111건 조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
[촬영 안철수]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마산 3·15의거 참여자 폭행·고문 피해 사건을 포함해 총 111건의 조사개시를 결정했다고 29일 밝혔다.

3·15의거 참여자 폭행·고문 피해 사건은 대학생이던 신청인이 마산에서 시위를 하다가 연행된 뒤 남성동 파출소에서 폭행당하고 마산경찰서로 이송돼 사흘간 불법 구금·고문 등 가혹행위를 당한 사건이다.

진실화해위는 3·15의거 증언록, 3·15의거사 등 문헌을 검토한 결과 당시 많은 학생과 시민이 남성동파출소에 연행돼 비슷한 피해를 본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이번 신청인도 개별 조사를 통해 진상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조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진실화해위는 국가보안법 위반 조작 의혹 사건도 조사하기로 했다.

이 사건은 신청인이 1981년 10월 모 부대에서 근무하던 중 보안대가 자신을 체포하러 오는 것으로 착각해 총을 들고 탈영했다가 3일 만에 체포되면서 발생했다.

보안대는 계엄포고령 위반 전력이 있는 신청인에게 월북을 시도했는지 조사하는 과정에서 가혹행위를 하고 동료 병사들의 증인 진술을 조작했다.

결국 신청인은 국가보안법 위반 등으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위원회는 신청인의 고문 피해 진술이 구체적이고, 찬양고무죄 관련 중요 참고인들이 증언을 거부하는 점 등으로 미뤄 당시 진술이 강압에 의해 조작됐을 개연성이 있다고 보고 조사하기로 했다.

진실화해위는 이밖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인 경기 여주·화성·파주·김포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전남 해남 군경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 전남 장성 적대세력에 의한 희생 사건 등도 조사한다.

이달 11일 기준 진실화해위에 접수된 진실규명 신청 건수는 1만6천125건(신청인 1만8천21명)이다. 진실규명 신청 기한은 올해 12월 9일까지다.

chic@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