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세종 제2연구청사 2027년 완공…과학기술정책연구원 등 3개 기관 입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정부가 오는 2027년 세종국책연구단지 제2연구청사를 설립한다.

또 용산유수지 인근을 개발해 2029년까지 청년층을 위한 공공분양주택과 시세 대비 저렴한 업무용 오피스텔 등을 공급한다.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19일 서울 영등포구 나라키움빌딩에서 열린 '제24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를 주재하고 이같은 내용의 국유재산 위탁개발 사업계획안을 승인했다.

뉴스핌

세종 제2국책연구단지 설계도 [출처=기획재정부] 2022.08.19 jsh@newspim.com


우선 이날 회의에서 세종국책연구단지 제2연구청사 건축위탁개발 사업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이는 2014년 완공된 세종국책연구단지의 공간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해당 사업지는 2020년 건축위탁개발 대상지로 선정, 국유재산법령에 따라 사업계획을 제출한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사업을 위탁받아 추진할 예정이다.

제2연구청사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정부는 내년에 세종 제2연구청사 설계를 마친 뒤 2024년 착공, 2027년 완공을 목표로 개발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용산유수지 건축위탁개발 사업계획(안)도 심의·의결했다. 용산역 인근 유수지(저수지와 같이 홍수량을 일시 저류하는 곳)에 청사와 오피스텔 및 공공분양주택 등을 복합개발하는 사업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을 위탁받아 추진한다.

이번 용산유수지 개발사업을 통해 청년층을 위한 공공분양주택(333호)과 시세 대비 저렴한 업무용 오피스텔(168호)을 공급할 계획이다. 또 청년창업사관학교와 신산업체험관도 함께 건립해 청년 창업과 신산업 육성 등 정부 정책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내년에 설계를 마친 뒤 2024년 착공,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이와 함께 울산 덕하역 폐선 부지 토지위탁개발 사업계획(안)도 이날 심의·의결했다. 동해선 덕하역 이전으로 발생한 유휴부지를 활용해 주택용지, 공공문화체육시설 및 업무시설 등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역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을 위탁받아 추진한다.

이 사업은 신설역사(덕하역) 개통에 따라 발생한 폐역사·폐선 부지 등을 활용, 주변 산업단지(울산석유화학산업단지 등) 근로자와 지역주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공공주택을 공급(417호)할 예정이다. 벤처·창업 지원을 위한 업무복합시설을 조성하고 공공문화체육시설, 공원 등 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내녀부터 공공주택지구조성사업 인허가를 거쳐 2025년에 착공, 2028년까지 부지 조성을 완료할 예정이다.

뉴스핌

최상대 기획재정부 차관이 19일 서울 영등포구 나라키움빌딩에서 열린 '제24차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2022.08.19 jsh@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2023년도 국유재산종합계획(안)'의 4대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정책방향별 세부과제도 논의했다.

국유재산종합계획은 국유재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연간 기본계획으로 국유재산에 관한 중장기 정책방향, 국유재산 관리·처분에 관한 총괄계획, 국유재산특례 종합계획으로 구성된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간이 적극 활용하는 국유재산 ▲민간과 함께하는 국유재산 개발 ▲국가정책 뒷받침 국유재산 활용 ▲관리체계 혁신으로 재산가치 증대 등 4대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국유재산 중장기 정책방향에 유휴·저활용 국유재산을 매각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하는 세부 과제들을 포함했다. 국유재산을 활용해 주택공급, 청년창업 지원 등 국가 주요정책을 뒷받침하고, 국유재산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과제들도 포함됐다.

이번 국유재산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결한 2023년도 국유재산종합계획(안)은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국회에 제출될 계획이다.

jsh@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