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IMF 총재 “인플레, 내년쯤 완화… 각국 물가 억제책 지속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금리인상 효과가 나타나는 내년에야 인플레이션이 진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15일(현지시각) 미 경제매체 CNBC와 인터뷰에서 “글로벌 금리는 2023년까지 오르고 그때 각국 중앙은행의 조치에 대응해 가열된 물가는 식기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비즈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8.6% 상승하며 1981년 12월 이후 최대폭을 기록한 데 이어 6월 CPI는 9.1% 급등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8년 만에 처음으로 올해 6월 0.75%포인트(p)에 달하는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가운데 이달 다시 1%p를 올릴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각국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우선순위로 두고 억제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은행들은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특정 범위에 국한된다는 게 분명해질 때까지 계속 억제에 나서야만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여전히 물가가 상승하고 있다”며 “우리는 여기에 찬물을 끼얹어야 한다”고 적극적인 조치를 주문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물가상승을 측정하는 데 쓰는 많은 데이터에 시차가 있기는 하지만 현재 모든 징후가 인플레이션이 아직 억제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 소득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특히 가난한 나라가 심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식품가격은 몇 년 전부터 급등 조짐을 보였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속도가 가팔라졌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방역규제 때문에 공급망이 작동에 차질을 빚는 상황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뒤 식품, 비료, 에너지 가격이 급등했다. 특히 식품가격의 지속적 상승은 가뭄과 흉작까지 겹친 저개발국에 기근과 같은 재난의 흉조로 읽힌다.

세계은행(WB)의 3∼4월 식품 원자재 물가 지수는 지난 2개월간 15%, 2년 전보다 80% 이상 급등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제대로 먹지 못해 영양이 부족한 전 세계인이 올해 760만명 증가하고 내년에 1900만명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윤정 기자(fact@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