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단독] 1인 가구·20대 겨냥한 '체감물가 지표'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정부 민생안정대책 ◆

정부가 오는 10월부터 연령대와 가구당 인원수를 고려한 가구 특성별 체감물가 산출을 추진한다.

매달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실제 체감물가 사이에 괴리가 크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한동안 고물가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개별 소비자들의 체감 수준을 더 잘 반영한 지표를 만들어 정책 수립에 활용하겠다는 목표다.

통계청은 우선 추석 직후 물가 자료와 가계수지동향 자료를 연계해 가구 인원수와 연령대별 체감물가를 도출한 후 공식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통계청 내 물가와 가계수지동향과 자료 등을 연계해 가구 특성별 물가지수를 도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10월 이후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가계동향조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 자료를 활용해 가구 인원수나 연령대별로 지출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달리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이 방식을 적용하면 자체 데이터만으로 가구 특성별 물가지수를 산출해내 속도감 있게 진행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통상 소비자물가지수는 총 458개 품목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해 계산한다. 월평균 소비지출액에서 각 품목 소비지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는 식이다. 품목별 가중치는 1년에 한 번 조정된다. 다만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체 가구에서 많이 소비되는 품목일수록 큰 가중치가 부여된다. 연령대나 가구 인원수에 따른 소비 성향 차이가 고려되지 못하는 셈이다.

가구 특성별 물가지수는 품목별 가중치를 가구 인원수와 연령대별로 다르게 설정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가구 유형과 연령대에 속한 소비자가 많이 구입하는 물건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작업이 우선 이뤄져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계동향조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 자료를 사용하는 식이다. 가구 특성별 물가지수가 산출되면 기존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체감물가가 높게 나타나는 가구 유형이나 연령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정부가 고물가 상황에서 계층별 맞춤형 대응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이희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