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세계 속 한류

BTS·손흥민 얼굴·이름 함부로 못쓴다…‘K엔터 보호법’ 시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손흥민 선수가 6일 오후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평가전 대한민국 대 칠레의 경기에서 골을 넣은 뒤 기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18년 국내 한 출판사가 방탄소년단(BTS)의 이름과 사진 등을 무단으로 사용해 화보를 제작·판매한 일이 벌어졌다. 이른바 ‘BTS 화보 사건’이다. 대법원은 이에 대해 “타인의 성과에 무임승차하는 ‘부정경쟁 행위’”라며 “화보의 제작·판매 중단과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하루 2000만원의 벌금을 매긴다”고 판결했다. BTS의 퍼블리시티권에 대해 소극적으로 인정했다는 반응이었다.

2000년대 후반 ‘가짜 박상민 사건’에 휘말렸던 가수 박상민씨도 자신의 외양에 대한 퍼블리시티권을 인정받지 못했다. 당시 야간업소 가수 A씨가 선글라스와 수염 등을 박씨와 비슷하게 꾸민 후 박씨를 사칭하면서 립싱크로 공연한 게 시빗거리였다. 이에 대해 대법원은 A씨에 대해 부정경쟁방지법 위반 판결을 내렸지만, 박상민씨는 자신의 외양에 대한 퍼블리시티권 침해를 인정받지는 못했다.

중앙일보

방탄소년단(BTS)이 오는 10일 발매하는 앤솔러지 음반 '프루프' 발매에 맞춰 2년 여 만에 국내 음악 방송에 출연한다고 소속사 빅히트뮤직이 3일 밝혔다. [사진 빅히트뮤직=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론 이 같은 ‘부정경쟁 행위’에 대해 보다 강력한 조치가 가능해진다.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다. 전문가들은 이번 개정법 시행이 세계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K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보호하는 데 역할 할 것으로 기대했다. BTS나 손흥민, 블랙핑크 같은 유명인의 얼굴이나 이름이 법적으로 ‘보호’받는다는 의미다.

특허청은 얼굴·이름 등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인 ‘퍼블리시티권’ 보호를 골자로 하는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안이 8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개정법은 부정경쟁 행위 항목에 ▶국내에 널리 인식되고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타인의 성명·초상·음성·서명 등을 무단으로 사용함으로써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번 개정은 유명인의 얼굴과 이름 등을 무단 사용해 발생한 재산적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피해자는 민사상 손해배상과 부정경쟁 행위 금지 등을 청구할 수 있다. 특허청에 행정조사를 신청해 시정 권고를 내리게 할 수도 있다.

중앙일보

가수 박상민씨가 지난 4월 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2 보령해양머드박람회' 홍보대사 위촉식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그동안 헌법·민법에 따라 초상권 등을 보호해왔지만 현실은 달랐다. 실제로 2012~2018년 45건의 관련 판결 중 18건만 초상권의 재산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또 유명인의 사진·이름 등을 무단 사용한 피해가 발생해도 배상액 규모는 일반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BTS 화보 사건’으로 퍼블리시티권 보호에 대한 목소리가 커졌다. 김일규 특허청 산업재산보호정책과장은 “최근 BTS뿐 아니라 ‘오징어게임’ ‘기생충’ 등이 세계 무대에서 인정받고 있는 가운데 엔터테인먼트 업계 종사자들의 투자와 노력의 결과를 보호해야 한다는 취지”라며 “앞으로 유명인의 초상‧성명 등의 무단사용 행위와 굿즈(기획상품) 불법 판매 등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제재가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개별 사례는 법원이 판단한다. 예컨대 개정안에서 ‘국내에 널리 인식되는’으로 표현된 유명인은 스포츠스타·음악가·배우·모델·유튜버 등을 가리킨다. 하지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로지’ ‘한유아’ 같은 가상인간, 메타버스(가상+현실세계)에서 퍼블리시티권을 침해했을 때는 논란이 생길 수 있다. 특허청 측은 이에 대해 “현시점 기준으로 가상인간은 유명하더라도 보호가 어려울 것으로, 가상공간에서는 유명인의 퍼블리시티권이 인정될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얼굴·이름·음성·서명뿐 아니라 캐리커처·유행어·동작·특정 소유 물품 등에 대한 침해를 어떻게 판단할지, 유명 범죄자의 ‘악명’을 이용해 경제적 이익을 취할 때도 퍼블리시티권에 의한 보호가 가능한지 등 다양한 사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최승재 세종대 법학부 교수는 “부정경쟁방지법이 퍼블리시티권 보호를 통해 향후 K엔터 산업의 지속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다만 이 과정에서 입법 해석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퍼블리시티권은

얼굴·이름 등이 지니는 경제적 가치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얼굴뿐 아니라 이름·음성·서명 등도 보호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에서 얼굴이 허가 없이 촬영되거나 공표되지 않을 권리인 초상권과 차이가 있다. 또한 초상권은 인격권의 하나로 정신적 피해만 다루지만 퍼블리시티권 보호는 재산상 피해에 대한 보상이 주목적이다.

최은경 기자 choi.eunkyu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