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동량 거의 100% 멈췄다”
돌파구 없을 땐 파업거점 확대
국토부 “안전운임제 국회가 결정”
원론적 입장 반복, 접점 못찾아
전국민주노동조합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무기한 전면 총파업을 시작한지 2일차인 8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화물연대본부 조합원들과 관계자들이 기자 간담회를 열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전운임제 유지·확대를 요구하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파업이 이틀째 이어지면서 운송 차질이 현실화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더 강력한 투쟁을 예고하며 대화를 촉구했지만, 정부는 법률 개정 사안이라며 국회에 공을 넘겼다.
8일 화물연대는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만5천여명의 조합원이 파업에 참여해 운송을 멈췄다. 유가 인상 때문에 비조합원의 참여가 높고, 조합원들의 결의도 높다”며 “시간이 흐른다 하더라도 파업의 동력은 줄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토교통부는 오전 10시 기준 7500여명의 조합원이 집회·대기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도 화물연대와 정부는 ‘파업 효과’를 놓고 상반된 평가를 내놓으며 줄다리기를 이어갔다. 국토부는 현재까지 항만과 공장·컨테이너 기지 등의 출입구가 봉쇄된 곳은 없으며, 물류 차질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반면, 화물연대는 봉쇄 없이도 파업이 충분한 효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은 “주요 항만과 석유화학단지의 물동량이 거의 100% 멈췄다. 물류에 차질이 없다는 국토부의 주장은 거짓이다”고 밝혔다.
실제 일부 업종은 공장 가동이 중단되거나 운송 차질이 현실화하고 있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현대차 울산공장 등 입구에서 조합 소속 납품 차량을 돌려보냄에 따라, 공장은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고 있다.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는 소주·맥주 출하량이 줄었고, 하루 8만3000개의 제품을 출하하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출하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하루 18만톤의 시멘트가 출하해야 하는데 어제는 10%도 출하하지 못했다. 하루에만 153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총파업으로 전국 유통·물류 현장이 버틸 수 있는 기한은 2~3일에 불과하다고 판단하고, 정부가 대화에 응하지 않는다면 투쟁의 수위를 높이겠다고 경고했다. 이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행태가 바뀌지 않고 탄압 일변도로 나간다면 투쟁 수위를 높일 수밖에 없다”며 “이른 시일 내에 전국 자동차 생산 라인을 멈추고 유통·물류를 완벽하게 세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현재 항만·석유화학단지를 넘어 파업 거점을 더 확대하겠다는 의미다.
정부는 원론적인 입장만 반복 중이다.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은 “(화물연대와 화주단체가 참여하는) 안전운임티에프(TF)에서 충분히 논의하되 궁극적으로는 국회에서 결정될 필요가 있다”며 “(안전운임제 평가에 대해선) 정부가 의견을 내는 게 맞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어 차관은 또 지난 2일 첫 교섭 뒤 국토부가 화물연대에 연락을 취하지 않는데 대해선 “분위기가 된다면 만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논평을 내고 “(대화에 관해선) 실체 없고 공허한 말만 반복하면서도 총파업에는 강경대응하겠다는 구체적인 방침만 쏟아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편, 경기도 화이트진로 이천공장 정문 앞에서 시위를 벌이던 조합원 15명이 운송방해 혐의로 경찰에 체포되는 등 파업 현장 곳곳에선 충돌이 빚어졌다. 부산과 광주에서도 화물차 등의 출입을 막은 조합원 3명이 체포돼 경찰 조사를 받고 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안태호 기자 eco@hani.co.kr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항상 시민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 신청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