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이창용 “인플레 진정 이후, 한국 등 통화정책 어려움 직면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주최 ‘2022 BOK 국제 콘퍼런스’

“저성장 도래할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


한겨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2년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이번 인플레이션이 진정되었을 때 (한국 등)개별 신흥국이 장기적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코로나 위기 극복 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비전통적 통화정책(중앙은행의 자산매입 등) 수단을 홀로 사용할 경우 국제금융시장에서 신흥국에 대한 불이익(환율, 자본 흐름 등)이 커질” 우려를 제기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변화하는 중앙은행의 역할: 무엇을 할 수 있고, 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열린 ‘2022 BOK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신흥국의 경우 확장적 재정·통화정책과 더불어 일부 국가에서는 그간 금시시되어온 국채 직접 인수에까지 나섰음에도 심각한 환율 절하나 자본 유출이 초래되지는 않았다”며 “이는 신흥국의 자산매입 등 비전통적 정책수단들이 금융위기나 코로나 위기 등 글로벌 공통충격에 대한 전세계적 대응 차원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한 가운데 선진국들이 훨씬 더 큰 규모의 자산매입에 나섰기 때문에 국제금융시장에서 신흥국 불이익이 크지 않을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한겨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22년 BOK 국제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총재는 “그러나 향후 개별 신흥국이 구조적 저성장 위험에 직면해 홀로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사용할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나타날지는 의문”이라며 “대규모의 글로벌 유동성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코로나 위기 극복과정에서와 비슷한 수준의 확장적 정책이 다시 이루어진다면 환율과 자본 흐름 및 인플레이션 기대에 미치는 함의는 사뭇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자국의 저물가·저성장 국면에 대비한 신흥국만의 효과적인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찾아야 하는 과제가 대두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 총재는 “이번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나서 장기 저성장(secular stagnation) 흐름이 다시 나타난다면 이전에 활용했던 정책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아직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고, 한국·태국 그리고 어쩌면 중국 등 인구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는 일부 신흥국에 저물가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만약 그렇게 된다면, 폴 크루그먼(노벨경제학상 수상) 교수가 선진국 중앙은행에 조언한 것처럼 한국이나 여타 신흥국들도 ‘무책임할 정도로 확실하게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하겠다고) 약속’ 해야만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며, 코로나 이후 통화정책 수단과 방향을 놓고 고민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조계완 선임기자 kyewan@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항상 시민과 함께 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 신청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