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은행권 가계대출 5개월 연속 감소…대출규제·금리인상 직격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월 말 5대은행 가계대출 9000억 이상 감소

주택 매매도 뚝... 주담대 감소로 이어질 듯

아주경제

1분기 가계대출 1.5조원↓…2002년 통계작성 이래 '첫 감소'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주택매매 거래가 뜸하고 금리까지 오르면서 지난 1분기(1∼3월) 가계대출 잔액이 2002년 통계 편제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022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859조4천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한 작년 12월 말보다 6천억원 줄었다. 가계대출이 전분기보다 줄어든 것은 2002년 4분기 해당 통계 편제 이래 최초 기록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은행에 대출 안내문 모습. 2022.5.24 ryousanta@yna.co.kr/2022-05-24 15:00:03/ <저작권자 ⓒ 1980-2022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규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 주택 거래 감소로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이 5개월 연속으로 줄어들었다. 올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세 차례 추가로 올릴 것으로 예상되고, 대출 규제도 더 강화될 예정이어서 은행의 가계대출 감소세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01조3954억원으로 전월 대비 9963억원(0.14%) 줄었다. 올해 들어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7조6575억원(1.08%) 줄어들었다.

가계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5월 말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은 506조5737억원으로 전월 대비 6231억원(0.12%) 감소했다. 신용대출은 132조1462억원으로 4월 말 대비 3144억원(0.24%) 줄어들었다. 작년 말과 비교하면 7조4110억원(5.31%)이나 줄었다.

가계대출이 줄어든 건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주택 거래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결과다. 금융당국은 올해 1월부터 실행되는 신규 대출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비은행권은 50%)를 적용하고 있다. 총 대출이 2억원을 넘고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40%를 넘으면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5000만원일 때 원리금이 2000만원보다는 낮아야 한다. 올해 7월부터는 총 대출이 1억원으로 규제가 강화된다.

또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려 가계의 이자 부담도 커졌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0.5%로 유지되던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 4월, 5월에 각각 0.25%포인트씩 인상돼 현재 1.75%까지 올랐다. 한국은행은 주요국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하기 위해 연내 2%대까지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이후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상품 금리도 크게 올랐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4.05%로 한 달 사이에 0.07%포인트 올랐다. 이는 2014년 3월(4.09%) 이래 8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84%에서 3.90%로 0.06%포인트 올랐는데, 이는 2013년 3월(3.97%) 이후 9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는 5.46%에서 5.62%로 한 달 사이에 0.16%포인트 올랐다.

가계대출 규제에 금리 인상까지 겹치자 주택 매매량도 급감했다. 실제로 지난달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840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7.2%나 줄었다. 주택 매매 거래량 감소는 주택담보대출 감소로 이어질 전망이다.

향후 가계대출 감소세가 계속되면 은행권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은경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 과정에서 점진적인 순이자마진(NIM) 개선 기대감은 유효하나 가계 가산금리 하락, 조달금리 상승 등 때문에 개선 강도는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정명섭 기자 jms9@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