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도형 테라폼랩스 사장.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권 사장은 21일 오후 9시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를 통해 세금 문제와 관련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우리(테라폼랩스)는 한국 정부에 더 내야 할 세금이 없다”며 “국세청은 한국에 있는 주요 가상자산 관련 회사를 상대로 세무조사를 실시했고, 해외 모회사에 한국 세법을 적용했다”며 “모든 회사들이 그 결과 세금을 내야 했고, 우리는 완납했다”고 썼다.
권 사장은 한국 정부가 근거 없이 세금을 부과했다는 뉘앙스의 메시지를 연달아 게시하기도 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코로나19 지출을 떠받치기 위해 돈이 필요했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가상자산 회사들에게 수백만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주장했다. “우리는 우리 몫을 모두 냈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이 싱가포르로 옮겨 간 이유를 설명하는 또 다른 트위터 게시물에서 “한국은 가상자산 관련 세금이 전혀 없는 나라(Korea has zero crypto taxes)”라고 소개했다.
또 그는 “어떤 소송이나 규제 조사에도 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기꺼이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는 숨길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권도형 테라폼랩스 사장은 21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트위터에서 조세 회피, 한국 법인 해산 등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해명하는 게시물을 연달아 올렸다. /권도형 사장 트위터 계정(@stablekwon)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권 사장이 세금을 추징당했고 이를 완납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은 그가 싱가포르에 체류 중인 이유를 트위터로 밝히자, 다른 사용자들이 조세포탈 의혹, 한국 법인 해산 등을 둘러싼 의문점 등을 잇따라 추궁했기 때문이다. 다른 이용자들이 권 사장의 게시물에 반박성 댓글을 달자 대응에 나선 것이다. 테라 투자자로 추정되는 ‘팻맨’이라는 아이디의 사용자는 권 사장에게 “7800만 달러가 넘는 법인세 미납으로 한국 세무 당국에 쫓기고 있지 않으냐”며 테라폼랩스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는 법인세가 낮고 양도소득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권 사장은 국세청이 테라폼랩스 등 자신의 회사를 상대로 세금을 추징해 완납했다고 해명했다.
다른 사용자가 증거 제시를 요구하자 그는 “가십거리 찾기를 재미 있어 하는 이유를 이해하지만, (내가) 현재 진행되는 어떤 것(의혹)과도 관련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루나, UST 폭락 사태 직전 테라폼랩스 한국 법인을 해산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회사(한국 법인) 폐쇄는 단지 시간이 걸렸을 뿐이고 그 시기는 순전히 우연의 일치”라고 주장했다. 이어 “테라폼랩스 본사는 싱가포르에서 설립돼 여전히 활동 중이고, (회사 상황은) 좋은 상태에 있다”며 “우리는 더는 한국 자회사를 갖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권 사장은 싱가포르에 체류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작년 12월부터 싱가포르에 있었다”며 “이것은 개인적인 결정이고 오랫동안 계획해왔던 일”이라고 밝혔다.
세무당국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권 사장은 공동창업자 신현성 씨 등과 함께 세금을 탈루한 혐의로 지난해 서울지방국세청의 특별세무조사를 받았다. 국세청은 이들이 누락한 법인세와 소득세로 총 500억 원 정도를 추징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국세청은 이들이 해외 조세회피처 법인 등을 통해 가상화폐 발행 관련 일부 수입과 증여에 대한 신고를 누락해 이를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세무 당국이 예외적으로 재조사를 벌여 권 대표 등을 조세 포탈 혐의로 검찰에 고발할 가능성도 일각에서 거론된다.
아울러 루나. UST에 투자했다가 손실을 본 한국 투자자들은 권 사장을 고발했고 검찰은 이 사건을 최근 부활한 금융증권범죄 합동수사단에 배당했다. 검찰은 UST를 사서 맡기면 연 20% 수익률을 보장하는 테라 측의 ‘앵커 프로토콜’이 폰지 사기(다단계 금융사기)에 해당하는지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조귀동 기자(ca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