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재조합 변이 XL 감염 확인
오미크론 하위·재조합 변이 잇따라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오미크론(BA.1)의 하위 변이는 국내에서도 우세종이 된 스텔스 오미크론(BA.2)이다. 전문가들은 BA.2의 전파력이 BA.1보다 30% 이상 더 강한 것으로 추정한다. 그런데 BA.2 이외에도 오미크론의 새로운 하위 변이들이 보고돼 WHO가 예의 주시한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이미지. WHO 홈페이지 캡처 |
WHO에 따르면 현재 국제인플루엔자정보공유기구(GISAID)에는 BA.4와 BA.5 감염 사례가 총 수십 건 보고된 상태다. BA.4는 지난 1월 10일부터 지난달 30일까지 남아프리카·덴마크·보츠와나·스코틀랜드·영국 등에서 보고됐다. BA.5는 남아프리카공화국·보츠와나 등에서 발견됐다.
보츠와나 보건부는 11일 "BA.4와 BA.5 감염 사례 4건이 파악됐는데, 이들은 모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완료한 30~50대이고 증상은 가볍다"고 밝혔다.
오미크론의 하위, 재조합 변이는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BA.1과 BA.2가 결합한 재조합 변이 XE가 영국·대만·태국·일본 등에서 발견된 데 이어 역시 BA.1과 BA.2가 결합했지만, 유전자 구성에 차이가 있는 XJ 변이 의심 사례까지 핀란드·태국에서 나왔다.
국내에선 BA.1과 BA.2의 또 다른 재조합 변이 XL이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가 12일 밝혔다. 영국 보건부에 따르면 XL은 앞서 영국에서 최초 발견된 바 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진단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XE는 BA.2보다 바이러스 증식 속도가 10% 정도 높다는 게 WHO의 설명이고, XJ와 XL의 전파력 등은 아직까지 확인된 바가 없다. 방대본은 "XL 재조합 변이는 WHO에서 오미크론으로 분류하고 있어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파력, 중증도 등 분석 자료가 없어 계속 변이 모니터링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지나친 우려를 경계한다. 뉴스위크 등에 따르면 프랑수아 발룩스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교수는 "델타 변이도 오미크론에 밀려나기 전까지 200개 이상의 하위 변이가 있었지만, 이들 중에선 더는 확산하지 않고 소멸된 것들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전염병 전문가 앤드류 프리드먼은 "지금까진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나 재조합 변이가 오미크론과 크게 차별화되는 위험성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변이가 재조합하는 과정에서 기존 변이보다 위험성이 높아질 가능성은 있다"며 "무엇보다 오미크론보다 전파력과 치명률이 높은 아예 새로운 변이 출현이 더욱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