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불법촬영 등 젠더 폭력

‘남성 몰카 피해’ 1년새 2배 증가… 신고 건수 급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해자 42.3%가 10~20대…51.7%는 가해자 몰라

아동 등 성착취물 4만6682건 요청 없어도 삭제

세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몰래 카메라’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지난해 6952명으로 집계됐다. 피해자 대부분은 여성이지만 남성 피해자도 1년 사이에 피해자 수가 2배 증가했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2021년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 운영 결과를 4일 발표했다.

센터에서 지원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수는 6952명, 지원한 서비스는 18만8083건이다. 전년대비 피해자 수는 39.8%, 서비스 지원 건수는 10.2% 증가했다.

피해자 중 2020년 대비 여성은 4047명에서 5109명으로, 남성은 926명에서 1843명으로 늘었다.

여성가족부는 남성 피해자 증가와 관련해 “불법 촬영 협박 피해 신고 건수 급증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피해자들의 연령은 10대 21.3%, 20대 21.0% 등 10~20대가 42.3%를 차지했다. 이 밖에 30대 6.8%, 40대 2.5%, 50대 이상 2.0%다. 연령을 밝히지 않은 피해자는 46.4%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를 보면 가해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경우가 51.7%인 3595명이다. 28.2%는 일시적 관계, 7.8%는 친밀한 관계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피해 유형으로는 접수된 피해 1만353건 중 유포 불안이 25.7%로 가장 많았고 불법 촬영 21.5%, 유포 20.3%, 유포 협박 18.7%, 사이버 괴롭힘 4.1%, 편집·합성 1.7% 순이다.

피해 촬영물 삭제 지원은 16만9820건으로 전년대비 약 7% 증가했다. 플랫폼별 삭제 지원은 성인사이트가 5만9113건(34.8%)으로 가장 많았고, 소셜미디어 3만1980건(18.8%), 검색엔진 3만372건(1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성폭력방지법 개정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은 피해자의 요청 없이도 사전 모니터링을 통해 선제적으로 삭제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등 4만6682건을 선제적으로 삭제 지원했다.

피해 촬영물과 함께 피해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우는 2021년 전체 삭제지원 16만9820건 중 15.0%인 2만5432건이다. 삭제지원한 개인정보 유형은 이름이 1만2803건(47.3%)으로 가장 많았고, 나이 7058건(26.1%), 소속 4794건(17.7%) 순이다.

센터는 피해지원 효율화를 위해 피해영상물 모니터링 및 삭제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 시스템 고도화뿐 아니라 해외 유관기관과의 공조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 2019년에 자체 개발한 삭제지원시스템을 고도화해 온라인상에 게시된 불법영상물을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 사이트를 확대했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협력해불법촬영물에서 특정 얼굴 검색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정영애 여성가족부 장관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는 남녀의 구분이 없으며, 시공간 제약이 없는 온라인의 특성상 유포 시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등 그 피해가 심각해 신속하고 전문적인 삭제지원이 필수”라며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에 대한 선제적 삭제를 강화하는 등 피해자가 안전하게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피해자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