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산속에서 진화 사투 벌이느라 "주권 행사 기회 놓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와 경북 동해안 산불 진화를 위해 지난 4일부터 비상 소집된 군 장병이나 소방대원 등 진화 대원 중 일부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인 오늘(9일) 정작 소중한 주권을 행사할 수 없게 돼 안타까움을 더합니다.

지난 4일 경북 울진과 강원도 강릉 등에서 발생한 산불로 지금까지 동해안 지역에 전국 각지에서 4천∼5천 명 안팎의 대규모 진화 인력이 투입됐습니다.

강원도에서는 진화 작업이 거의 마무리됐지만, 경북 울진은 산불 발생 엿새째인 오늘에도 진화 작업이 한창입니다.

문제는 비상 소집된 군 장병이나 소방대원 등 진화 대원 일부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인 오늘 소중한 주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됐다는 것입니다.

지난 4∼5일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 기간에는 산불 진화 탓에 투표 시기를 놓친 데다 오늘 본투표는 사전투표와 달리 주소지에서만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불 피해지가 근무지인 A씨는 "5일 새벽부터 산불 진화에 투입돼 동료들과 밤새 매캐한 연기를 마시며 사투를 벌였다"며 "사전투표 이틀째인 지난 5일 투표할 계획이었지만 산불 진화로 시기를 놓쳤다"고 토로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나와 같은 처지의 부대원들이 대략 100여 명은 되는 것 같다"며 "산불 진화 지원은 지난 7일 해제됐지만, 근무지 특성상 본투표를 하기 위해 거리가 먼 경남에 내려갈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습니다.

경북 울진 화재 현장에 투입된 진화대원 B씨 역시 "사전투표 첫날 불이 난 뒤 지금까지 계속 비상 상황이어서 투표는 엄두를 낼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진화대원 C씨는 "교대근무가 가능한 조직은 투표권을 행사할 여지라도 있지만 그럴 여건이 안 되는 조직은 투표를 하고 싶어도 못한다"며 안타까워했습니다.

주소지가 화재 현장 인근인 진화대원은 근무 교대 후 늦게라도 주권을 행사할 수 있어 그나마 다행입니다.

강원도 삼척 사곡리 산불 현장을 밤새워 지킨 한 소방대원은 "지난 4일 근무하다 출동을 해서 사전투표를 못 했다"며 "오늘 오전 9시 근무교대 후 복귀하면서 투표했다"고 말했습니다.

강원도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한 사전투표와 달리 본투표는 반드시 자신의 주소지에서만 할 수 있다"며 "사전투표 제도는 과거 부재자 투표를 대체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놓친 유권자는 본투표 이외에 달리 방법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2022 대선, 국민의 선택!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