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차기 대선 경쟁

국민의힘, '이준석 리스크'에 부글부글...윤석열-안철수 주말 담판 나서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민의힘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측과의 폭로전 이후 상황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른바 '이준석 리스크'가 다시 수면위로 오르는 게 아니냔 우려가 일각에서 나오는 가운데 단일화 불씨를 살리려는 움직임도 나오고 있습니다.

JTBC

국민의힘 권영세 선거대책본부장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선거대책본부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 권영세 선대본부장은 오늘(24일) 선대본 회의에서 "단일화를 둘러싸고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이 있었다"면서 "정권 교체를 염원하는 국민들의 뜻을 최우선으로 해서 더 이상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논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두가 조심해야 될 때"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당 대표를 비롯해 우리 모두가 사감이나 사익은 뒤로하고 정권 교체라는 대의를 앞세워야 할 때다. 우리 모두가 명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습니다.

어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국민의당 이태규 총괄선대본부장은 폭로 기자회견을 주고받으며 비공개 회동 내용을 모두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후 감정싸움과 당내 혼란이 이어질 조짐이 보이자 선거대책본부 차원에서 나선 겁니다.

JTBC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당 이태규 총괄본부장이 밝힌 '합당 제안' 관련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경원 전 의원도 라디오 인터뷰에서 단일화 문제를 언급하며 "조금 더 예의를 갖추고 진심으로 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에 조금 아쉬움이 있지 않았나"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습니다.

JTBC

국민의당 이태규 총괄선대본부장이 2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달 초 안철수 대선 후보의 사퇴를 조건으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로부터 합당 제안을 받았다'는 내용의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후보 측근 사이에선 더 격앙된 반응이 나왔습니다. 한 윤 후보 측 관계자는 "어제 기자회견 이후로 완전히 단일화는 고착상태에 들어갔다고 본다. 진흙탕 싸움이 돼버렸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불필요하고 단일화리스크를 준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하지만 코앞에 닥친 대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단 우려에 더 이상의 확전은 자제하는 분위깁니다. 윤 후보 측 또다른 관계자는 "이 대표의 행동은 충격적"이라면서도 "대선을 앞두고 당내 분열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대표 역시 자신을 향한 비판에 "대응하지 않겠다"고 일축했습니다.

다만 이 대표가 오늘 오후 2시 예정된 윤 후보의 경기도 수원 유세 현장에 참석하려다 행사 20분 전 돌연 목적지를 경기도 안성으로 바꿔 한때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기도 했습니다. 국민의힘 공보실은 이날 오후 1시 40분쯤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 메시지에서 "이 대표가 오후 2시 참석 예정이던 경기 수원 유세 일정을 취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표가 윤 후보 지원 유세 일정을 갑작스럽게 취소한 배경을 두고 당 안팎에선 “권영세 선대본부장 발언이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이 대표 측 관계자는 “동선상 안성으로 바로 이동하는 게 나을 것 같아서 바꾼 것”이라면서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윤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주말쯤 만나 단일화 논의에 대해 담판을 지을지도 여전히 관심입니다. 안 후보는 오늘 오전 윤 후보와의 만남에 관해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어떤 연락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국민의당 선대위 이태규 총괄선대본부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안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간 이야기 통로가 열려있느냐는 질문에 "지금 연락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면서도 "서로 다 모르는 관계가 아니다. 필요하면 연락은 할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습니다.

채승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