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청년 취업자 수, 코로나19 이전 수준 근접…만성적 비취업자는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이코노미

최근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에 근접했지만, ‘만성적 비취업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청년층(15~29세) 취업자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에 근접했지만, ‘만성적 비취업자’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적 비취업자는 취업 준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을 뜻한다.

지난 2월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4분기(10~12월)와 지난해 4분기 고용 현황을 비교 분석한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경총은 해당 보고서에서 최근 고용 흐름의 특징으로 청년층 고용 회복 지체, 공공·준공공 부문에 집중된 고용 회복, 지역별 고용 회복세 차별화를 꼽았다.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21년 4분기 392만2000명으로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4분기 398만2000명의 98.5% 수준에 달했다.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는 못했지만 이에 근접한 모습이다.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는 2021년 4분기 454만2000명으로 2019년 4분기 473만4000명보다 줄었다. 비경제활동 사유를 살펴보면 ‘육아·가사’와 ‘교육기관·학원 통학’이 2019년 4분기 각각 20만3000명, 345만2000명에서 2021년 4분기 14만8000명, 323만1000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만성적 비취업자로 분류되는 ‘쉬었음’, ‘취업 준비’는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5.2%, 8.6% 증가한 것으로 40만9000명, 54만5000명으로 나타났다.

고용 부문별로는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을 비롯한 민간 부문에서 고용이 크게 감소한 반면 공공행정, 보건·복지업 등 공공·준공공 부문에서 대폭 증가했다. 2020년 2분기와 2021년 4분기의 고용 증감폭을 계산한 결과 도소매(-46만5000명), 숙박·음식(-22만5000명), 제조(-19만4000명) 부문은 감소한 반면, 공공행정(+5만4000명), 보건복지(+66만명) 부문은 늘었다.

공공·준공공 부문 고용 확대가 실업자 상당수를 흡수하면서 코로나19 위기로 증가한 실업률의 회복이 해당 부문에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풀이된다.

고용 회복세는 지역별로 편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세종시, 전북도는 지난해 고용 증가율이 전국 평균인 1.4%를 웃돌았고, 취업자 수도 2019년 4분기 수준을 넘어섰다. 전년 대비 지난해 고용 증가율은 경기도 3.5%, 세종시 3.2%, 전북도 2.2%로 나타났다. 반면 울산시, 경북도, 광주시는 각각 -1%, -0.6%, -0.4%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고 취업자 수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총 관계자는 “청년층 고용 회복이 지체되는 가운데 실업자 중 상당수가 공공·준공공 부문에 흡수돼 향후 고용 회복 속도는 더뎌질 것으로 전망한다”며 “만성적 비취업 청년에 대한 취업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산업 구조 전환을 반영한 노동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유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