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군부의 양보?…아세안 특사와 민주세력 인사 만남 허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총사령관(왼쪽)과 훈센 캄보디아 총리(오른쪽). /사진=AP·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미얀마 군부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사가 쿠데타로 축출된 전(前) 여당인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인사와 면담 갖는 것을 허용키로 했다. 교착상태에 빠진 쿠데타 사태 해결 노력에 작은 변화가 될지 주목된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군부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은 아세안 의장국인 캄보디아를 통해 아세안 특사와 NLD 소속 인사들 중 일부와의 만남을 허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까오 낌 호른 캄보디아 총리실 특임장관은 전날 “지난달 26일 훈센 캄보디아 총리와 민 아웅 흘라잉 사령관과의 화상통화에서 이같이 합의됐다”며 “다만 NLD 인사들 중 일부와 만남을 허용하겠다곤 했지만 어떤 인사가 나오게 될지는 밝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아세안 특사와 만나게 될 NLD 소속 정치인이 특정되지 않은데다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과 특사와의 만남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무척 낮다”는 것이다.

까오 낌 호른 장관은 “중요한 목표는 모든 이해 관계자들을 만나는 것이다. 특사 방문은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이뤄질 수도 있다”며 “앞으로 수치 국가고문이 참석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NLD의 망명 지도부 대변인을 맡고 있는 네이 폰 랏 의원은 “아세안 특사와의 모든 회의는 당이 동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4월 아세안은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과 함께 특별정상회의를 열고 미얀마 유혈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모색했다. 당시 양측은 △미얀마의 즉각적 폭력 중단과 모든 당사자의 자제 △국민을 위한 평화적 해결책을 찾기 위한 건설적 대화 △아세안 의장과 사무총장의 특사 형식 대화 중재 △인도적 지원 제공 △특사와 대표단의 미얀마 방문 등 5개 사항에 합의했지만, 군부는 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고 특사가 NLD 등 반군부 세력과 만나는 것도 반대해왔다.

이후 아세안은 5개항 합의 미이행 등을 이유로 정상회의에 흘라잉 총사령관의 참석을 불허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취해오며 군정을 배제하는 움직임을 이어오고 있다. 그간 완고하던 미얀마 군부가 아세안 특사와 NLD 측 인사의 만남을 허용하겠다며 한수 굽힌 모양새지만 오는 16~17일 열리는 아세안 리트리트(비공식 자유토론)에 군정 외교장관을 초대하지 않겠다는 방침은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아세안 회원국들은 미얀마 군정 외교장관의 참석 여부를 두고 합의를 보지 못해 비정치적 대표를 초청하기로 결정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