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설날인 1일 인천시 강화군 강화제적봉평화전망대를 찾았다. 국민의힘 선대본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설날인 1일 “사드를 포함한 중층적 미사일 방어망을 구축해 수도권과 경기 북부 지역까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실히 지키겠다”고 밝혔다. 최근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보수 지지층을 결집하는 안보 행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는 이날 인천시 강화군 강화제적봉평화전망대를 찾아 “북한은 올해 들어 벌써 1월 한 달에만 7차례의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결국 저는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조치를 생각하게 됐다”며 이렇게 말했다. 윤 후보는 지난달 30일에도 페이스북에 ‘사드 추가 배치’라는 여섯 글자 공약을 올린 바 있다. ‘안보 포퓰리즘’이라는 비판이 여권에서 나오는 데 대해 윤 후보는 “(나보고) 전쟁광이라고 얘기를 하는데 사드라고 하는 것은 공격용 무기가 아니지 않나”라며 “방어용 무기를 구축하는 것을 전쟁광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안보를 포기한 것이다. 선제타격이라고 하는 불가피한 자위권 행사와 사드를 비롯한 미사일 중층 방어망을 구축하는 것을 전쟁 도발 행위라고 규정하는 사람들은 국가안보와 국정을 담당할 자세가 안 돼 있다고 본다”고 날을 세웠다. 윤 후보는 또한 “평화통일은 우리에게 힘이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힘이 뒷받침되어야 우리가 바라는 자유 평화 번영의 통일 이룩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후보는 또한 “제가 새 정부를 책임지게 되면 남북 관계를 정상화하고 공동 번영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북한 비핵화 진전에 발맞춰 남북공동경제발전계획을 추진하겠다. 국민 합의에 기초한 통일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했다. 남북공동경제발전계획의 구체적인 방안을 묻자 “북한이 불가역적인 비핵화 추진으로 제일 먼저 국제 사회의 핵사찰부터 수용한다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SOC)건설과 경제발전을 위한 협의를 즉각 시작하겠다. 우리 기업들과 함께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어떤 투자할 수 있는지, 국제사회와 국제 금융기관과 함께 어떤 투자할 수 있는지 정부가 주도해서 그 길을 열겠다”고 답했다.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조선인을 강제동원했던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진하려는 데 대해서는 “대단히 유감”이라며 “일본도 국제사회의 리더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문화재 등재를 할 때 거기에 담겨있는 자랑스러운 역사와 부끄러운 역사를 국제사회에 낱낱이 다 공개하고 국제 사회에 설명하는 것이 맞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의 전날 양자토론이 무산된 책임을 이 후보 쪽에 돌렸다. 그는 “지난해부터 (이 후보가) 토론을 하자고 하길래 허세라고 봤다”며 “과감하게 토론하자고 하길래 제가 받아들였더니 주제를 대장동은 10분만 하자라든지, 또는 뭐 자료를 들고 오지 말라고 했다. 제가 본인이 결재한 서류 다 가지고 가야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또 “친여 인사로 채워진 것으로 보여지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실시간 중계방송이나 녹화 중계조차 절대 안 된다고 잘랐다. 그럼 뻔한 거 아니겠나”라며 중앙선관위도 겨냥했다.
또 이 후보가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와 양자토론을 하는 데 대해선 “요새 보면 (이 후보가) 페북에 한 줄 메시지 하는 것부터 제가 연설에 쓰는 그런 용어까지 다 따라 한다”며 “이 후보, 김 후보 두 분이 토론하는 것은 저와 김 후보가 토론하는 거랑 큰 차이가 없지 않겠나 싶다”라고 비꼬았다.
오는 3일 열리는 4자 토론에 관해선 “4자 토론이라는 건 저도 16번 해봤지만 시간 제한이 있어서 제대로 질문하기가 곤란하다”면서도 “국민께서 대선 후보에게 궁금해하고 있는 부분 위주로 토론 진행해볼까 한다”고 의지를 밝혔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