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맨의 친정부 무장단체들이 18일 홍해 항구 아덴의 샤브와 주의 주도인 아타크 시에 진을 치고 있다. [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 유가가 다시 들썩이고 있다. 올해 배럴당 100달러가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예멘 반군의 아랍에미리트(UAE) 석유 시설 공격과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갈등 등 지정학적 위험이 고조되는 영향이다. 기름값이 상승에 인플레이션 압력도 더 커지며 경제 전반에 다시 먹구름이 몰려올 태세다.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선물 가격은 전날보다 1.9% 오른 배럴당 85.4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 가격도 전날보다 1.2%) 오른 배럴당 87.51달러를 기록했다. WTI와 브렌트유 모두 미국의 셰일 오일 등장으로 유가 하락이 본격화됐던 2014년 10월 이후 7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했다.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가격 추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
━
전 세계 지정학적 갈등 유가 끌어올려
유가 상승세에 기름을 부은 것은 전 세계 곳곳에서 불거지는 지정학적 갈등이다. 지난 17일 예멘 반군 후티가 무인기(드론)를 이용해 UAE 아부다비의 국제공항과 석유 시설을 공격하면서 유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세계 8번째 석유 생산국인 UAE에 대한 공격으로 공급 우려가 커진 탓이다. 반군이 추가 공격을 예고한 만큼 원유 생산에는 영향을 줄 전망이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서방과 러시아의 갈등 역시 불안 요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재 석유 수요가 증가하고 원유 재고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예멘 반군의 UAE 공격뿐만 아니라 산유국인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도 원유 공급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시장에 퍼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세계 2대 산유국이다.
증산을 약속했던 OPEC+ 회원국들의 실제 산유량이 목표치를 밑도는 것도 유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지난해 7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 OPEC회원국으로 이뤄진 OPEC+는 2020년 합의했던 감산 규모를 줄이는 방식으로 지난해 8월부터 매달 하루 40만 배럴씩 증산하기로 뜻을 모았다. 하지만 지난달 OPEC 회원국은 할당된 증산량(일 25만 배럴)에 못 미치는 15만 배럴을 증산했을 뿐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FILE PHOTO: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and Belarusian leader Alexander Lukashenko shake hands during a news conference following talks at the Kremlin in Moscow, Russia September 9, 2021. REUTERS/Shamil Zhumatov/File Phot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급 불안 요인은 커지고 있지만 원유 수요는 늘어날 전망이다. OPEC은 올해 전 세계 원유 수요가 하루 420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도 1월 월간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원유 수요가 하루 362만 배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급 불균형이 이어지며 올해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브렌트유가 올해 하반기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하고 내년에도 상승세를 이어 배럴당 10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JP모건은 브렌트유 가격이 올해 배럴당 125달러, 내년에는 배럴당 150달러를 넘길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놨다.
━
미 국채 10년물 급등, 연준 더 빨리 움직이나
미국 10년물 국채.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
국제 유가만 뛰는 것이 아니다. 원자재 가격 흐름도 불안한 상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대립하는 상황에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며 유가 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천연가스 수요가 원유로 옮겨올 수 있어서다. 여기에 글로벌 석탄 수출의 26%를 장악한 인도네시아의 수출 제한도 원유 등 에너지 가격의 불안을 더 자극할 수 있다.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서며, 인플레이션 압력도 재점화하는 모습이다. 물가 상승세가 거세지며 미국의 긴축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을 것이란 전망에 미 국채 금리도 오름세다. 18일(현지시간) 미 국채 10년 물은 1.872%로 상승 마감하며 2020년 1월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짐 캐론 모건스탠리 글로벌 채권 총괄은 CNBC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움직임이 더 공격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달 깜짝 금리 인상이 나오거나 오는 3월에 한 번에 0.5%포인트 올릴 수 있다는 전망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연주 기자 kim.yeonjoo@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