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요약
콘진원, '2021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연구' 보고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신효령 기자 = 코로나19 여파로 콘텐츠산업 채용 시장이 경력직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로 산업 자체가 위축된 상황에서 업무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력에 대한 업계 수요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21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연구'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조사는 콘텐츠산업 주요 8개 장르 사업체 2000개사와 프리랜서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콘텐츠산업 내 고용구조 변화와 디지털 전환 현황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8개 장르 콘텐츠산업 제작·유통 인력은 총 28만1000명(단순 임대 및 도소매업 종사자 제외)이며 ▲사업체 종사자(정규·비정규직) 20만2000명(71.9%) ▲프리랜서 7만9000명(28.1%)으로 추산된다.
지난 2019년 연구에서 조사된 사업체 종사자(2018년 기준) 대비 2021년 종사자는 4년간 19만7000명에서 20만2000명으로 증가했다. 프리랜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시장 위축으로 8만6000명에서 7만9000명으로 감소했다.
콘텐츠산업의 인력수급 현황 분석 결과, 경력채용에 대한 수요는 74.6%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8년과 비교했을 때 26.1%p 증가한 것으로 드러나 큰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로 콘텐츠 산업이 위축된 만큼 필요한 인력을 적기에 뽑아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신규인력들의 고용시장 진입이 어려워진 것이다.
[서울=뉴시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산업 고용구조의 특징을 조사한 '2021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사진=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2022.01.19.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사업체에서 신규채용 예정 인력인 2700여명보다 많은 1만5900여명(추정)의 인력이 취업대상자로 확인돼 시장에 인력이 과잉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19년 9500여 명이었던 인력의 미스매칭 규모가 1만3300여 명으로 늘어나 인력수급 불균형 및 미스매칭이 보다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조사했다. 2021년 사업체 조사결과, 기획·제작, 유통 등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라고 22.3%가 응답했다. 다만,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기업 중 48.1%는 직원 재교육, 관련 신규 인력 채용과 같은 인력 확보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인력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이후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문제점을 바탕으로 고용활성화 방안을 크게 2가지 측면에서 제시했다. 우선 업계의 디지털 전환 및 인력 확보를 촉진하는 지원을 통해 디지털 인력이 콘텐츠산업으로 지속 유입되어 활동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제언했다.
사업체가 상대적으로 인력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세부 직무를 파악해 신규인력이 관련 직무에 대한 일경험을 쌓을 수 있게 하는 핀셋형 지원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번 보고서는 콘진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snow@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