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조선왕실의 현판Ⅱ'·'금보개조도감의궤' 발간
돈의문 현판. 문화재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시대 종묘와 사직단 등에 걸렸던 현판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선왕실의 현판Ⅱ'와 1705년 종묘와 영녕전의 금보와 관련 물품들을 개수한 과정의 기록을 국역한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 2종을 발간했다.
소장품도록 '조선왕실의 현판 Ⅱ'는 2020년에 발간한 '조선왕실의 현판Ⅰ'의 후속편으로, 이번에는 종묘, 사직단, 사묘, 능원묘, 별궁, 행궁, 궐외각사 등에 걸었던 현판 총 288점을 대상으로 했다.
이 책에는 현판에 대한 사진과 유물 설명 등의 기본 정보, 게시 장소와 서사관의 이름을 기록한 뒷면 글씨, 테두리의 문양을 비롯해 본래 현판이 걸려 있었던 왕실 건축물의 도면, 사진, 지도까지 종합적으로 수록했다.
이번에 조사한 현판에는 Δ조선 시대 국왕이 종묘와 사직단 등에서 제사를 지내며 나라의 발전과 백성들의 평안을 기원하는 글 Δ조선 왕릉을 참배하고 선왕의 공덕을 찬양하는 글 Δ능의 관리와 제사 준비에 소홀함이 없도록 재관들에게 당부하는 글 Δ별궁과 행궁에 방문해 옛일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감회를 읊은 글 Δ국정의 운영과 관련한 내용과 관리 명단 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의 글이 새겨져 있다.
이처럼 현판에 새겨진 다양한 기록을 통해 조선 시대 유교적 세계관과 나라의 운용을 위한 제도와 특징, 후대 왕의 효심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조사된 현판 중에 '의열사기' 현판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중 가장 앞선 시기의 것임을 확인했다. 이 현판은 1581년(선조 14년)에 류성룡이 지은 부여 의열사의 기문(기록한 글)을 1582년(선조 15년)에 석봉 한호(1543~1605년)가 쓴 것으로 밝혀졌다.
의열사기 현판. 문화재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보개조도감의궤도설 어보. 문화재청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는 오랜 세월과 전쟁 등으로 파손되거나 유실된 종묘와 영녕전에 보관된 명종금보와 각종 물품들을 1705년(숙종 31년)에 대대적으로 정비한 과정에 대한 기록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금보개조도감의궤'를 번역한 것이다.
이 의궤는 종묘와 영녕전의 정비 작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때부터 도감(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임시기구)이 설치되고 관련 물품들을 모두 제작하여 봉안 의식을 마치고 상을 내리기까지의 전 과정을 담고 있다.
특히, 명종대왕 금보와 신실별 물품 등의 개수 과정과 의식 진행 절차, 개수에 필요한 인력과 사용된 물품들의 종류·수량 등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어 조선 시대 최고의 장인들이 참여해 작업한 구체적인 내역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왕실의 어보와 관련 기물 제작의 전 과정을 볼 수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 2종은 국공립 도서관과 관련 연구기관 등에 배포하고, 문화재청 및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공개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조선왕실의 현판Ⅱ, 국역 금보개조도감의궤 전차책 표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