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청소년 접종률 주춤…학원 방역패스 제동에 “접종 설득 어렵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4일 오후 서울 마포구 종로학원 강북본원에서 관계자가 방역패스 관련 안내문을 떼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법원이 학원·독서실 등의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에 제동을 걸면서 소아·청소년 백신접종도 주춤하고 있다. 방학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소아·청소년 확진자 수가 줄어드는데다가 법원 결정의 영향까지 더해지며 접종률을 높이기 쉽지 않다는 반응이 나온다.

6일 교육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2시 기준 만 13~18세 1차 백신접종률은 76.2%로 집계됐다. 법원이 학원 방역패스 적용 금지 결정을 내린 지난 4일 1차 접종률(75.6%)과 비교해 0.6%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만 13~15세 청소년의 1차 접종률은 이보다 더 낮은 66.3%로, 이틀 전(65.5%)에 비해 0.8%포인트 올랐다.



접종률 상승세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



청소년 접종률 상승세는 크게 둔화됐다. 교육부는 매주 화·목요일 접종률을 집계하는데, 지난해 12월 28일(화)과 30일(목) 사이 접종률은 1.9%포인트 올랐다. 13~15세 청소년 1차 접종률은 같은 기간 2.3%포인트 상승했다. 이와 비교하면 이번주 접종률은 3분의 1 수준으로 꺾인 셈이다.

소아·청소년의 코로나19 확진자도 감소하는 추세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5일 오전 12시 기준 코로나19 소아·청소년 확진자 수는 371명으로, 지난해 30일(740명)과 비교해 절반 가까이 줄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겨울방학이 시작되며 소아·청소년의 밀집도가 크게 줄어 코로나19 확진자 수 역시 줄었다”고 말했다.



"백신접종vs미접종 학생간 갈등 우려"



중앙일보

지난해 11월 30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분수대광장에서 전국학부모단체연합 회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소아·청소년 백신접종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확진자 감소에 법원 결정까지 더해지며 백신 미접종 학생과 학부모의 ‘접종 반대’ 목소리도 더 커지고 있다. 당장 교육부는 3월 정상등교와 방역패스 적용을 위해 겨울방학동안 백신접종률을 더 끌어올릴 계획이었으나, 차질이 불가피해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중학교 담임교사는 “백신을 안 맞겠다는 아이와 학부모를 설득할 명분이 사라졌다”며 “지금이야 방학이라 괜찮은데, 정식 판결이 3월 개학 후 나게 된다면 백신 접종한 아이와 미접종한 아이 간 갈등도 발생할 것 같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이모(45)씨는 “우리 아이는 백신을 맞았지만, 백신을 안 맞으면 학원을 못가는 식으로 사실상 강제하는 분위기라서 맞은 거지 그렇지 않았다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되 주사 맞지 않았을 것”이라며 “부작용 발생률이 아무리 적다고 해도 그게 내 아이일 수 있는데, 미접종 상태에서 고민하던 학부모라면 이번 법원 결정을 보고 백신접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당국 엇박자…학부모 "우왕좌왕 혼란스럽다"



이런 상황에서 방역당국과 정부·여당의 ‘엇박자’ 정책으로 혼란이 더 가중된다는 비판도 나온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등 방역 당국은 법원의 학원 방역패스 금지 결정에 즉시 항고하며 반발했지만, 여권 내에선 방역패스 적용 대상에서 학원을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중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박모(49)씨는 “대체 어떤 정책 방향이 맞는 건지, 정부당국 안에서도 입장이 오락가락하니까 어떻게 해야 할지 혼란스럽다”며 “정부와 방역당국이 세심하게 협의해 학부모들에게 제대로 된 정책 방향을 안내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후연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