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수치 못 만난다는데…캄보디아 총리, 미얀마 방문서 뭘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정, 수치 면담불허 거듭 밝혀…"군정만 만나면 잘못된 메시지 줄 것"

연합뉴스

훈센 캄보디아 총리의 미얀마 방문을 반대하는 시위대가 훈센 총리 사진을 밟고 있는 모습. [킷팃미디어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2022.01.01 송고]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캄보디아 훈센 총리가 미얀마를 방문해도 가택 연금 중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만날 수 없을 것이라고 쿠데타 군사정권이 밝혔다.

이에 따라 미얀마 방문이 쿠데타 사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훈센 총리의 주장이 설득력이 약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 민 툰 군정 대변인은 지난 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훈센 총리의 방문과 관련해 "정당을 대표하는 이들만이 (훈센 총리를) 만나고 논의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여전히 법적 처벌에 직면한 이들에게는 제한이 있다"고 말했다.

조 민 툰 대변인이 언급한 법적 처벌은 수치 고문의 선동·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 위반·무전기 불법 수입 및 소지 혐의 등을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

군정은 지난해에도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사가 미얀마 방문을 계획하면서 수치 고문 면담을 요청하자, 범죄 혐의로 재판이 진행 중인 인사는 만날 수 없다며 거부한 바 있다.

조 민 툰 대변인은 훈센 총리가 7∼8일 미얀마 방문시 수치 고문과 윈 민 대통령을 포함해 쿠데타로 축출된 문민정부 지도부와의 면담을 요청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고 방송은 전했다.

캄보디아 외교부 대변인도 질의에 대해 훈센 총리가 수치 고문을 만날지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고 밝힌 것으로 방송은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인도네시아 싱크탱크 '시너지 폴리시스' 대표인 디나 프랍토 라하르자는 베나르 뉴스에 "핵심은 훈센 총리가 누굴 만나느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디나 대표는 "훈센 총리가 군정 인사들만 만나고, 문민정부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측 대표들을 만나지 않는다면 아세안의 입장과, 지난해 도출된 아세안 정상회의 5개 합의사항에 대한 잘못된 메시지를 군정에 주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세안은 지난해 4월 특별 정상회의를 열어 쿠데타 사태 해결을 위해 즉각적 폭력 중단과 특사 방문 등 5개항에 합의했지만, 이후 군정이 이를 이행하지 않자 지난해 10월 정상회의에 흘라잉 사령관을 배제했다.

그러나 올해 아세안 의장을 맡은 훈센 총리는 미얀마 군정 수장의 아세안 배제는 부당하다면서, 미얀마를 방문해 쿠데타 문제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지난해 말부터 주장해왔다.

그는 미얀마 문제 해법은 권력을 쥔 이들과의 협상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훈센 총리는 지난해 2월1일 쿠데타 이후 미얀마를 방문하는 첫 해외 정상이 된다.

그러나 미얀마 국내외 200개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4일 공동 성명을 내고 "아세안과 유엔은 훈센 총리가 독자적으로 행동해 군정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미얀마 국민에게 더 큰 피해가 가는 결과가 초래되도록 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며 방문 반대 입장을 천명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31일 양곤의 캄보디아 대사관 인근에서 사제폭발물 2개가 잇따라 터지면서, 훈센 총리 방문에 반대하는 항의 표시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미얀마 군부는 문민정부 압승으로 끝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면서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찬탈한 뒤 1년 가까이 반군부 세력을 유혈 탄압해오고 있다.

미얀마 상황을 감시하는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부의 폭력으로 인해 1천400명 이상이 숨지고 1만1천300여명이 체포·구금됐다.

sout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