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28일 윤석열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재참여 가능성을 내비쳤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선대위 참여를 이야기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선대위 참여와 관계 없이 할 수 있는 것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윤 후보 측에서 요청이 있으면 (선대위 복귀를) 생각하겠다'는 발언의 취지를 묻는 질문에 "울산 합의의 원칙에 의거해 당대표가 후보 요청에 따라 당무를 수행하며 무조건 따른다는 첫 조항을 지키겠다고 선언한 것"이라며 "그것을 그대로 다시 얘기했는데 (와전된 것)"라고 말했다.
이날 한 언론은 이 대표가 인터뷰를 통해 '윤 후보가 요청하면 선대위에 복귀할 의사가 있으며, 아직까지 윤 후보나 윤 후보 측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바 없다'는 취지로 이야기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대표는 "선대위 참여를 얘기한 것이 아니라, 후보 요청에 따른 당무를 하겠다는 것"이라며 "선대위에 (다시) 참여하는 조건이 있다면, 그 진실성이 훼손된다고 보여지기에 조건을 붙이고 싶지 않다"고 했다.
사회자가 '돌아간다면 조건 없이 돌아가겠다는 의미냐'고 묻자 이 대표는 "후보에게 이렇게하면 돌아가겠다고 하는 것도 잘못이고, 조건을 내세워 복귀한다 하더라도 모양이 좋지 않다"며 "선대위의 역할과 관계없이 제가 할 수 있는 것을 하는거지 들어가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대표는 조수진 최고위원과의 갈등으로 선대위를 사퇴한 것이 '장군이 전장에서 이탈한 것'이란 지적에 대해 "제가 그 자리에서 바로 박차고 나간 것은 아니고 1박2일 정도의 시간이 있었다"며 "오후 4시까지 그 사태가 정리됐다면 후보 권위도 살고 제 권위도 살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윤 후보를 책망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이 민주주의'라고 한 순간 선대위 체계가 흔들린다고 봐서 적극적으로 시정이 필요하다고 봤다"며 "전장 지휘관으로서 지휘권을 부정당한 것이다. 전쟁터에서 항명은 일벌백계"라고 말했다.
윤 후보가 낙선할 경우 이준석 책임론이 불거질 것이란 지적에 대해 "(윤 후보가 떨어지면) 저는 당대표를 사퇴해야 할 것이다. 대선에서 진 당대표가 자리에 남아있을 방법은 없다"며 "그렇게 때문에 의문의 여지 없이 선거 승리를 위해 갈 수 있는 길을 찾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오전 7시부터 김종인 총괄위원장이 회의를 챙기고 하는 게 체계 잡기의 일환"이라며 "이렇게 선대위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이 마무리되면 선거는 무리 없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 자리에서 이번 대선에 있어 2030표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의 선거를 도왔던 저의 입장에서, 그 당시 50대부터 투표율이 80%에 달할 정도로 50~70대가 총결집됐다"며 "지금보면 당시 50대가 그대로 60대가 되면서 6070대의 (국민의힘) 지지율이 견고하고, 5040세대가 민주당 성향으로 돌아간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때문에 2030세대의 선택이 결국 이번 선거 결과를 가르는 것"이라며 "울산 합의 3개조항 중 하나가 선거 대원칙에 2030에 대한 정책적 접근과 소통강화를 선거 주전략으로 삼는다는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최근 윤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추락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이 대표는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재미있는 것이 20대, 특히 남성 지지층을 위주로 일부 조사에서 허경영 후보에게 13%에 가까운 지지를 몰아주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아직까지 우리 후보나 선대위에 다소간 불만이 있지만 이재명 후보를 찍을 생각은 없다는걸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다시 한번 대변화가 있으면 그 지지율은 다시 우리 후보에 향할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