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도입분 20대, 청주기지 아닌 다른 곳에 배치 방침…전략자산 보호
북한은 초대형 방사포 등으로 남측 공군기지 타격 훈련 몰두
실사격 훈련하는 F-35A 전투기 |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군이 북한 핵심 표적을 타격하는 전략자산인 스텔스 전투기 F-35A의 유사시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분산 배치를 추진한다.
25일 군에 따르면 공군은 F-35A 배치 기지 분산을 위한 초기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F-35A는 현재 제17전투비행단이 있는 공군 청주기지에 전량 배치돼 있다. F-35A는 2019년 3월 처음 한국에 도착한 이후 총 40대가 들어왔고, 2022년 동체 착륙한 1대의 퇴역 결정 이후 39대가 운용되고 있다.
군은 약 3조7천500억 원을 들여 F-35A 20대를 추가로 들여오는 방안을 지난해 확정했으며 이르면 2026년 초도 물량이 한국에 들어올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이 2차 도입분을 청주기지가 아닌 다른 기지에 배치할 방침이다. 추가 도입이 완료되면 총 59대로 늘어날 F-35A를 한 곳에 두지 않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F-35A는 북한의 핵·미사일 발사 체계와 같은 핵심 표적의 사용 징후가 명백한 경우 사용 전 이를 제거하는 공격 체계를 일컫는 '킬체인'의 핵심 전력이다. 이동식 발사대(TEL)와 같은 이동 표적이 F-35A의 목표물이 된다.
또한 북한이 핵이나 대량살상무기(WMD)를 사용했을 경우 전쟁 지휘부를 제거하는 대량응징보복(KMPR)에도 투입된다. 북한 방공망의 탐지 역량을 상회하는 스텔스 기능이 발휘하는 은밀 침투 능력을 토대로 초정밀 타격에 나선다.
이처럼 유사시 핵심 목표를 제거하는 전략자산인 만큼 청주 한 곳에 몰아두지 않고 분산 배치함으로써 효율적·안정적으로 운용하겠다는 것이 군의 계획이다.
2023년 3월 북한 신형전술유도무기 발사 장면 |
특히 북한이 최근 들어 자신들보다 압도적 우위에 있는 남측의 공중 전력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유사시 공군 기지부터 공격하고 보겠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어 분산 배치 필요성이 더 높아졌다.
북한은 2022년 10월 '적 작전비행장 타격'을 모의한 집중화력타격 훈련이 진행됐다고 밝힌 바 있다. 작전비행장은 공군기지를 뜻한다.
지난해 2월에는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인 600㎜ 초대형 방사포를 발사하고 "적의 작전비행장당 4발을 할당해둘 정도의 가공할 위력을 자랑하는 전술핵 공격수단"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북한은 평남 숙천에서 쏜 미사일 중 1발이 약 337㎞를 비행했다고 밝혔다. 이는 숙천에서 340㎞ 떨어진 청주 공군기지를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북한은 지난해 3월에도 "서부전선 방면의 적 작전비행장을 담당하고 있는 군부대의 실전 대응태세를 판정·검열했다"며 SRBM인 신형전술유도무기 6발을 발사하는 장면을 공개했다. '서부전선 방면의 적 작전비행장'에는 청주기지가 포함된다.
이처럼 남측 공군기지, 특히 청주기지는 북한이 상시 노리는 주요 타깃인 만큼 군이 F-35A 분산 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군은 보안상 F-35A를 어디에 분산 배치할지를 공개하지 않았다. 전국 각 공군기지의 현재 전력 배치 상황 및 운영 개념, 북한과의 거리, F-35A의 유사시 주요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중부 지방의 특정 기지가 유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j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