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겁나게 뛰니…집 있는 가구 평균 자산 6억, 전세 가구는 4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 보유액이 올해 3월말 기준 5억원을 돌파했다.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1년간 자산 증가율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16일 함께 발표했다. 매년 실시하는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자산과 부채, 소득의 규모·구성·분포 등 전반적 재무건전성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 지표다. 자산과 부채는 올해 3월말이 기준 시점이며 소득과 지출, 원리금상환액은 작년 한 해 동안 흐름을 본다.

올해 조사 결과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12.8% 늘어난 5억253만원이다. 증가율은 조사를 처음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1452만원으로 같은 기간 14.2%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역대 최대 증가세다.

자산 보유액 증가는 집값 상승이 핵심 요인이다. 가구당 실물자산 보유액은 평균 3억8934만원으로 전년 대비 14.4% 늘었다. 실물 자산 중 거주주택 가격은 2억2876만원으로 같은 기간 20.7% 늘었다.

부동산 가격 급등세는 자가 주택 보유 가구의 자산증가율을 상대적으로 더 높이는 데 기여했다. 자가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6162만원으로 1년 전보다 14.1% 늘었다. 그러나 전세 가구 자산은 4억6401만원으로 6.1% 증가에 그쳤으며 월세 등 기타 입주 형태 가구의 자산은 1억3983만원으로 10.4% 늘었다.

작년 한 해 동안 가구당 평균 소득은 6125만원으로 전년 대비 3.4% 늘었다. 소득원천별로는 근로소득이 전년 대비 1.7% 늘어난 3855만원으로 전체 소득의 62.9% 를 차지했다. 코로나 19로 인해 유통·관광업 등이 타격을 입으며 사업소득은 1.4% 감소한 1135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코로나 지원금 영향으로 공적 이전소득은 31.7% 급증한 602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역대 최대 규모의 재난지원금이 전국민에 뿌려진 결과 분배지표가 개선되는 효과도 있었다. 지난해 기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85배를 기록했다. 상위 20% 계층의 소득 평균값이 하위 20%의 5.85배라는 뜻이다. 처분가능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등 시장소득에 재난지원금을 비롯한 공적이전소득을 추가한 것이다. 시장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1.37배였다.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처분가능소득으로 따지면 0.339에서 0.331로 0.008 개선됐다. 반면 시장소득 기준 지니계수는 0.405로 전년(0.404)보다 0.001 악화했다. 지니계수는 '0'이면 완전 평등을,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중위소득 50% 이하 계층에 속한 인구수를 전체 인구수로 나눈 상대적 빈곤율은 지난해 시장소득 기준 21.3%로 전년도 20.8%보다 0.5%포인트 올랐다. 반면 처분가능소득 기준 상대적 빈곤율은 15.3%로 같은 기간 1.0%포인트 낮아졌다.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는 소득 분배 개선에 방점을 찍은 평가를 내놨다. 홍 부총리는 16일 페이스북을 통해 "2017년부터 3대 분배지표(5분위 배율, 지니계수, 상대적 빈곤율)가 4년 연속 개선세를 보였다. 그간 꾸준히 강화한 포용성 강화정책 토대 위에 '경제위기가 양극화를 심화한다'는 공식을 깨기위한 정부 노력이 뒷받침된 결과"라고 했다.

[이종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