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대장동 의혹’과 ‘고발 사주 의혹’에 대응하는 방식이 쌍둥이처럼 흡사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상대 정당과의 연관성 부각→프레임 전환을 통한 역공→당내 경쟁 주자의 반발 등 하나의 공식을 따르는 것처럼 비슷한 대처법을 보이고 있다. 여야 모두 진상 규명보다는 의혹 부풀리기를 통한 ‘네 탓 전략’을 구사한 결과로 해석된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발 사주→박지원 게이트 VS 대장동→국민의힘 게이트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각각의 유력 대선 주자에게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 프레임 전환 전략을 쓰고 있다.
국민의힘은 당내 대선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게 고발 사주 의혹이 제기되자 박지원 게이트 프레임으로 맞섰다. 제보자 조성은 전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 선거대책위원회 부위원장과 박지원 국정원장의 회동 및 친밀한 관계를 부각해 박지원 게이트로 해당 의혹을 전환하려고 한 것이다. 당초에는 검찰과 야당의 커넥션이 의혹의 중심이었지만 여권 인사인 박 원장의 정치 개입 의혹으로 축을 옮기겠다는 의도다. 다만 무리한 프레임 전환이란 지적이 당내에서도 나오자 박지원 게이트 프레임에선 한 발 빼고 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23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고발사주 의혹 사건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익 제보 사건만 존재할 뿐”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이재명 경기지사에게 제기된 대장동 의혹에 대응하는 방식도 앞서 국민의힘 대응책과 닮아 있다. 민주당은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의 아들이 특혜 의혹이 제기된 대장동 개발 자산관리사인 화천대유에서 근무했다는 사실과 원유철 전 미래한국당 대표가 고문을 맡았다는 점을 집중 부각하며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명명했다. 당초 이 지사가 성남시장 시절 특혜를 줬느냐, 그렇지 않았느냐가 의혹의 중심이었으나 국민의힘 인사들의 참여를 부각해 논점을 바꿔 되치기를 시도한 것이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위 대선 주자들은 견제…‘내부 총질’ 비판도
의혹에 대한 당내 균열 양상도 여야 모두 비슷하다. 의혹의 대상자들이 모두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1위 대선 주자라 2위 주자들은 역전의 기회로 삼으려 하기 때문이다.
고발 사주 의혹에 대응했던 국민의힘에선 당시 2위 주자인 홍준표 의원만이 다른 목소리를 냈다. 국민의힘 지도부와 각 캠프가 모두 나서 고발 사주 의혹을 박지원 게이트라고 부르며 반격할 때 홍 의원만이 “당이 개입해선 안 된다”고 했다. 당이 무리하게 개입하다간 의혹이 커질 경우 당 전체에 피해가 올 수 있다는 취지다. 이를 두고 홍 의원과 윤 전 총장 간의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윤 전 총장 측에서 조성은씨와 박 원장의 만남에 제3의 인물이 동석했고, 그 인물이 홍 의원 캠프 인사라는 이야기를 흘리면서 두 주자간 갈등이 극에 달했다.
이후 홍 의원은 ‘내부 총질’이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윤 전 총장이 지난 11일 “아무리 경쟁한다고 해도, 어떻게 저쪽(여권)에서 총을 한 방 날리니까 바로 올라타 가지고 그렇게 합니까”라고 기자들에게 말했고, 지난 16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주자 토론회에서도 하태경 의원이 홍 의원을 향해 “민주당 대변인과 똑같다”고 공격했다.
대장동 의혹 대응 과정에서 나타난 민주당의 모습도 비슷하다. 2위 주자인 이낙연 전 대표는 대장동 의혹에 대해서 “상식적이지 않다”며 공세를 펼쳤다. 1위 주자인 이 지사 견제에 활용하는 모양새다. 이후 네거티브 중단을 선언했던 민주당 내에서 다시 한번 주자 간 공방이 치열해졌다. 이 지사는 지난 21일 이 전 대표를 향해 “보수 언론과 보수 야당의 음해적 정치공세에 편승하지 말라”고 했다. 이 지사 캠프의 현근택 대변인은 이 전 대표를 향해 “야당 대변인인가”라고 공격했다. 국민의힘과 마찬가지로 ‘내부 총질’이란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여야의 닮은 꼴 대응은 본질적으로 의혹 부풀리기에 집중한 결과로 해석된다. 해당 의혹이 완전히 밝혀지기 위해서는 수사 기관의 수사가 필요하고 그 결과가 단기간에 나오기는 쉽지 않다. 이런 점을 활용해 여야가 진상 규명이란 빌미로 의혹 단계에서 상대 진영에 타격을 주는 데 이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순봉 기자 gabgu@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