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7일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머지포인트' 운영사 머지플러스 본사 모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머지포인트 사태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사태가 발생한 지 3주밖에 되지 않았지만, 점차 대중의 관심에서 잊히지는 분위기다. 가입자만 10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업체였다는 점에서 여론의 비판이 장기화할 것이란 예상이 나왔지만 한 달이 안 돼 관심이 식고 있는 셈이다.
1일 국민청원에 따르면 머지포인트 사태 관련 해결을 촉구하는 국민청원에 이날 오후 2시 기준 2만8500여명이 참여했다. 마감기한이 10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임에도 청원 충족 기준인 20만 명의 10%를 겨우 넘긴 모습이다.
머지포인트는 가입자만 100만 명에 달하는 업체로 머지포인트 사태로 피해 규모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머지포인트 사태로 여론이 들끓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관련 국민청원은 충족 인원의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사건 대부분이 국민청원 충족 기준인 20만 명을 넘었던 것을 고려하면 대중의 관심이 생각보다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머지포인트 구매자가 모여 있는 네이버카페 '머지포인트 피해자 모임'에서는 머지포인트를 향한 관심이 줄어드는 사태를 안타깝게 바라보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 한 구매자는 "며칠 전만 해도 관련 기사가 쏟아지더니 이렇게 잊히고 있다"며 "소비자보호원 집단 분쟁이 시작되든 국민청원이 달성되든 이슈가 필요한데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이렇게 머지포인트 사태에 대중의 관심이 많지 않은 이유는 머지포인트 구매자가 대부분 소액 구매자란 점 때문이다. 계정당 40만원이라는 구매 금액 제한을 뒀던 한 e커머스 업체마저 머지포인트 판매로 매달 10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기록했을 정도로 소액 구매자가 많았던 상황이다. 이들을 합하면 금액이 크겠지만, 개인만 보면 소액이란 점에서 단합 의지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다.
실제 머지포인트 구매자들이 모인 한 카페에서는 '집단소송'을 준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참여가 저조하다. 4만3000여명이 가입한 네이버카페 '머지포인트 사기 환불 피해자 소송 보상 커뮤니티'에서는 지난달 30일부터 집단소송을 준비하기 위한 투표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날 기준 투표 인원은 300여명밖에 되지 않는다. 사태 발생 초기와 달리 관심이 크게 줄었다는 의미다.
게다가 머지포인트 사태 관련해 환불이 일부 이뤄졌다는 점도 관심을 줄어들게 한 요소 중 하나다. 머지포인트를 운영하는 머지플러스는 지난달 26일까지 환불 18회에 걸쳐 부분 환불을 진행한 바 있다. 소비자들 처지에선 환불을 해주기만 한다면 큰 문제가 될 일이 없으므로 환불을 받은 소비자들은 머지포인트에 대한 관심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사태가 잠잠해지기를 기다리려는 듯 머지플러스 측도 지난달 26일, 열흘 동안 매일 진행해왔던 환불을 잠정 중단하기도 했다. 11번가 측에서 지난달 10일 판매분에 한해 환불을 진행한 것을 문제 삼아 환불을 잠정 중단한다고 선언한 것이다. 중단 7일째인 이날 환불을 재개하긴 했지만 머지포인트 사태를 바라보는 여론의 관심은 식을 대로 식은 상황이다.
물론 아직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사태를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머지포인트 사태가 사기인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사태를 키우는 것은 이르다는 판단이다. 머지플러스 사태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도 머지플러스 대표 등 관계자를 입건하고 관련 기업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경찰이 이날 서울청 금융범죄수사대를 집중수사관서로 지정해 전국에서 발생하는 머지포인트 관련 사건을 합병 수사하기로 결정하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머지포인트 사태를 계속 이슈로 끌고 가기 위해서는 구매자들 사이에서 구심력을 갖춰 문제를 공론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오프라인과 달리 온라인에서는 조직화가 쉽지 않기 때문에 특정 커뮤니티 혹은 단체에서 구심력을 가지고 이슈를 조직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번 머지포인트 사태에서 국민청원이 20만 명을 넘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란 설명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온라인에서 소비자들은 이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하지 않으면 앞으로 본인이 비슷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는 결국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정 커뮤니티나 단체가 중심이 돼 조직적으로 피해 구제 활동을 이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임찬영 기자 chan0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