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빅데이터 플랫폼 15개 추가 구축…`통합 데이터지도`로 연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 발표

2025년까지 15개 분야별 대표적 빅데이터 플랫폼 추가 구축

`통합 데이터지도`로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 연계

이데일리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들이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15개 분야별 대표적 빅데이터 플랫폼을 추가로 구축하고, `통합 데이터지도`를 중심으로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과의 연계를 늘려나간다. 또 데이터 바우처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바우처 원 서비스(One Service)`를 신설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을 11일 열린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23차 전체회의에서 발표했다.

4차위는 이날 회의에서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심의·의결했고,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발전전략은 4차위가 수립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관계부처가 함께 마련한 실행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2019년부터 데이터 생산·유통·분석·활용 등 전 주기를 지원하는 16개 분야별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 129개 데이터 플랫폼(공공 108개, 민간 21개) 중 21개(16.3%) 플랫폼만 전 주기를 지원하며, 56개 플랫폼(43.4%)만 데이터 분석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 운영 중인 16개 빅데이터 플랫폼(과 향후 구축할 신규 플랫폼을 대표 플랫폼으로 육성하고, 데이터의 축적부터 활용까지 활성화되도록 고도화하기로 했다. 또 플랫폼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데이터 유통을 더욱 강화하고 민간데이터의 공공부문 활용을 촉진하는 과제를 추진한다.

주요 추진과제를 살펴보면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에 따라 향후 구축할 15개 신규 플랫폼은 수요 분석 등을 통해 분야를 발굴해 분야 맞춤형 플랫폼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기존 산재된 데이터 플랫폼의 효과적 연계·활용 등을 위해 `민·관 데이터 플랫폼 발전협의체`를 구성, 플랫폼 전반의 유기적인 연계 활용방안을 협의·추진한다.

또 누구나 쉽게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를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에 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통합 데이터지도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데이터 플랫폼과의 연계를 늘려나갈 방침이다.

기업 등 수요자가 데이터 구매 또는 가공을 지원받을 수 있는 데이터 바우처를 일정요건이 갖춰진 데이터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내년에 `바우처 원 서비스` 신설을 추진한다. 데이터 공급기업이 수요자 맞춤형 데이터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시장의 데이터 수요를 미리 알리는 `수요 예보제`도 도입한다.

데이터 플랫폼을 중심으로 기술·인력 등 분석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 스타트업 등에게 분석서비스 바우처를 지원하고, 혁신서비스 개발 등을 위한 플랫폼 데이터를 할인·무상으로 제공한다. 각 플랫폼의 유료 또는 미개방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하고 결과를 반출할 수 있는 오프라인 안심구역도 확대한다. 수요기관과 공급기관을 연결하는 밋업(Meet-Up) 행사 등도 개최한다.

데이터 통합·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데이터 입력 항목의 단어·용어 등을 표준화하고, 필요시 공공·민간이 공동으로 마련한 연계 표준사전을 공공분야에 반영하는 체계 구현을 추진한다. 데이터 플랫폼 구축 이후 데이터 현행화(업데이트), 접근성·편의성 제고 등을 위해 소요되는 플랫폼 운영 대가 산정기준도 마련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 국내 기업과 기관이 비즈니스 현장에 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를 활발히 도입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 산업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데이터 기반 혁신 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데이터를 축적·개방하는 플랫폼을 넘어 서비스 중심의 데이터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