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기자수첩] 코로나 통계는 '착시', 경기 회복 맞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책사회부 원승일 기자

메트로신문사

통계청이 발표하는 산업활동동향, 고용동향 등의 통계 수치를 자세히 보면 증가율 앞에 붙는 전제가 있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을 두고 지난해 코로나19 때 생산과 소비, 고용이 줄어든 것에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한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워낙 지표가 나빴기에 올해는 무엇과 비교해도 수치가 좋아 보일 수밖에 없다. 정부는 각종 경기 지표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통계 수치가 만들어 낸 착시현상이다. 한 경제 전문가의 경기 회복에 대한 지나친 기대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머리를 때렸다.

실제 경기가 반등해 회복세에 접어들었는지 냉철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4월 취업자가 65만명 늘었는데 비교 대상이 된 지난해 4월에는 47만6000명 줄었다. 1999년 2월 이후 가장 감소 폭이 컸다. 코로나19 때 너무 낮았던터라 지난달 취업자 수가 급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 수가 1년 전 보다 46만9000명 급증했다. 반면 30대는 -9만8000명, 40대 -1만2000명으로 각각 줄었다. 경제 허리인 30~40대 취업자 수가 줄어든 공간을 고령층 취업자가 메운 셈이다.

고령층이 끌어올린 취업자 수, 정부 주도의 공공 일자리나 단기 일자리가 대부분이었다. 정부는 고용 회복세라고 평가했는데 노동시장의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다.

생산 지표 증가세도 업종별로 보면 그 편차가 너무 심하다.

올 1분기 광공업 생산지수는 113.9로 1980년 1분기 이후 최고였다. 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반면,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108.4였다.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4분기 서비스업 생산지수 109.2보다 낮다.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서비스업은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경제는 기저효과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반등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 수장의 현실 인식을 엿볼 수 있다.

홍 부총리는 기재부 국장급 이상이 참석한 확대간부회의에서 "6월 초까지 올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의 내부안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경제정책방향은 6월 중순 발표 예정인데 예전보다 한 달여간 일정을 앞당겼다.

문 대통령이 취임 4주년 특별 연설에서 "올해 4% 이상의 경제성장률 달성"을 언급한 뒤 나온 후속 조치다.

민생 경제는 착시라고 하는데, 하반기 경제정책은 경기 회복에 대한 장밋빛 전망으로 채워지겠다. 단지 기우일까.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