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4 (금)

저소득층·워킹맘 골라 때린 코로나…소득 불평등 더 심해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위 20% 소득 17% 줄 때 상위 20% 소득은 고작 1.5% 감소
저소득층 주로 종사하는 비대면 업종 일자리 크게 감소
한국일보

소득분위별 가구소득 감소율.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계층 간 소득 불평등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이 주로 종사해온 대면·서비스 업종에서 관련 일자리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특히 저소득층 중에서도 임시·일용직, 자녀를 둔 여성 가구주의 소득이 크게 감소했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4분기 가구소득 5분위(상위 20%) 소득이 1.5% 줄어드는 동안, 1분위(하위 20%) 소득은 17.1%나 줄었다. 1분위 소득 감소율은 △2분위 5.6% △3분위 3.3% △ 4분위 2.7%의 소득 감소율도 크게 웃돌았다.

이에 지난해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4분기(0.386~0.399) 내내 2019년(0.378~0.386)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한국일보

핵심노동연령층(30~54세) 가구의 자녀 유무별 비취업가구 비중. 한국은행 제공


소득격차가 더 벌어진 것은 코로나19 사태로 대면·서비스 업종에 주로 종사하는 저소득 가구의 일자리 감소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특히 임시·일용직과 여성·유자녀 가구의 피해가 컸다.

지난해 30~54세 유자녀 여성가구 비취업 비중은 17.4%를 기록했는데, 이는 1년 전(11.9%)에 비해 5.5%포인트 높아진 수치이며 남성(2.0%)에 비해서는 약 9배 높은 비율이었다. 지난해 2~4분기에 소득 1분위 중 비취업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53.9%에서 62.6%로 8.7%포인트나 올랐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우리 사회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육아부담이 큰데,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은 대면 일자리는 재택근무도 쉽지 않아 부담이 더욱 가중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분위별 가구 경상소득 증감률. 경상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한국은행 제공


한편 재난지원금 등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은 저소득 가구 소득을 늘리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2~4분기 중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모두 포함한 경상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는데, 여기서 정부 지원금과 실업급여 등을 제외하면 같은 수치는 -1.3%로 크게 떨어졌다. 특히 하위 20% 가구의 경우 사회수혜금 덕분에 -8%였던 경상소득 증가율이 3.4%까지 치솟았다. 송 팀장은 "코로나 관련 정부 지원금이 계층 간 소득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곽주현 기자 zooh@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