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2002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대선 예비후보들을 청와대로 초청, 북한의 핵개발 대책에 대한 간담회를 갖기에 앞서 이한동 후보와 악수를 하고 있다. 뒤로 노무현 당시 후보도 보인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영조가 신하들에게 내린 신선로에는 노란 계란전, 검은 버섯전, 파란 파전, 붉은 당근전의 4색 전이 들어 있었다. 관료들이 서로 공식(共食)하며 화합을 다지라는 의미로 내린 음식이었다. 비빔밥도 이질적 재료들이 조화를 이뤄 최고의 영양가를 내는 음식이다. 8일 별세한 이한동 전 총리가 회고록 ‘정치는 중업이다’에서 남긴 말이다. 그의 눈에 신선로 정치, 비빔밥 정치를 가로막는 걸림돌은 지역주의였다.
□ 화합, 통합의 가장 큰 장애물을 걷어내려던 그가 1992년 14대 총선 때 중부권 역할론을 들고나왔다. 물론 경상도는 경상도대로, 전라도는 전라도대로, 충청도는 충청도대로 뭉치니 경기 인천 강원이 뭉치자는 감정적 동기가 출발이었다. 나중에는 차기 지도자는 동서가 아닌 지역, 가장 중도적이고 중립적인 중부권에서 나와야 한다는 ‘신중부권 통합론’으로 발전했다. 서울 경기 인천만 해도 2,500만 명인데 이들이 ‘고향 땅 찾아가는 투표’를 지양하고, 지역감정을 거중 조정하는 취지였다. 이제 그와 함께 잊힐 통합론이겠지만 그렇다고 노(老) 정객의 우려가 해소된 건 아니다.
□ 지난 30년간 대권 구도는 3 대 3으로 균형을 이뤘다고 그는 봤다. 지역등권론 속에 영남이 지지한 대통령과 호남이 지지한 대통령이 3명씩 나왔다는 얘기다. 그런 입장에서 지역등권론은 또 다른 지역할거주의에 지나지 않았다. 물론 지금 지역주의는 꺼내는 것조차 금기시되지만, 이를 대신한 이념은 지역과 중첩되고, 영호남 지지후보가 상반되는 것도 사실이다. 당대표 선거에 나선 국민의힘에서 벌어지는 ‘영남당으론 안 된다’ ‘수도권에 30%나 되는 영남 표심을 버릴 거냐’는 논란에서도 지역주의는 아직 살아 있다.
□ 논란을 예견한 듯 생전의 이 전 총리는 “보수만 해도 특정 지역정당 내지 지역 세력에서 탈피해 전국 정당, 전국 세력으로 가치를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 한편으로 그는 40년 정치인생에서 최고의 깨달음은 중업(重業)이라고 했다. 정치인은 아무나 함부로, 개인의 영달이나 이익을 위해 취할 직업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런 아름다운 멍에를 짊어진 이가 돈과 명예를 탐한다면 결국에는 불행해진다는 말도 누구든 한번쯤은 새겨야 할 옥조다.
이태규 논설위원 tglee@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