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보관·고체화 등 다른 대안도 있다”
지난해 7월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 오염수 해양 방류 계획을 규탄하고 있는 그린피스 회원들. 그린피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가장 돈이 적게 드는 방법이 최선일 수는 없다.’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하자, 해양 방류가 최선의 선택지는 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오염수 처리 문제는 전문가들도 뚜렷한 대안을 찾지 못하는 과제다. 그렇다고 해도 선택지가 없는 것은 아니다. 방사성 물질의 방사선량이 충분히 줄어들 때까지 오염수를 장기 보관하는 방법, 오염수를 고체화해 보관하는 방법 등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지난 13일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물탱크에 보관 중인 오염수 약 125만톤을 30년 간 바다에 방류하기로 결정했다. 배출 전 방사성 물질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제거하고 삼중수소는 물로 희석해 법정 기준치 아래로 농도를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들은 ‘오염수 장기 저장’을 최선의 선택지로 제시한다. 삼중수소처럼 다핵종제거설비로 걸러지지 않는 방사성 물질이 있기 때문에 방사선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기간인 반감기를 여러 번 거쳐 독성을 최소화하는 게 먼저라는 것이다.
이정윤 원자력안전과미래 대표는 “오염수를 희석시키는 것은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지 방사능 강도를 낮추는 게 아니다. 삼중수소 반감기가 12년인데 이 반감기를 여러 번 거치며 강도를 낮춰야 한다. 50~120년 정도 장기간 물탱크에 보관했다가 내보내야 한다”고 말했다.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 소장은 “100년 정도 지나면 만족할 정도로 방사선량이 줄었다고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그게 어렵다면 최소한 30년은 보관해 배출하는 게 합리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앞서 그린피스 독일사무소는 지난해 10월 발간한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위기의 현실’ 보고서에서 “근본적으로는 그 어떤 대안도 턱없이 부족한 것은 맞다. 하지만 장기 저장을 통해 삼중수소를 포함한 일부 방사성 물질의 방사능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일본 정부 입장에선 물탱크 추가 설치를 통한 장기 저장이 비용 문제는 물론, 후쿠시마 지역을 포기한다는 인식을 국내외에 줄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지는 ‘오염수 고체화’다. 다핵종제거설비를 통해 방사성 물질이 일부 정화된 저준위 오염수를 시멘트, 모래와 함께 반죽한 뒤 고체화해 콘크리트 탱크 안으로 부어넣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방사성 물질의 해양 방출을 차단할 수 있지만 고체화 과정에서 부피가 늘어나기 때문에 상당한 추가 부지가 필요하다. 한병섭 소장은 “해양 방류나 액체 상태로 장기 저장하는 방식에 비해 보관 부피가 늘고 비용도 막대하기 때문에 일본이 선택하기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을 되돌릴 수 없다면, 이에 따른 위험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정보공개를 압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박종운 동국대 원자력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과도하게 불안감만 키울 게 아니라 정부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나서서 국민을 안심시킬 필요가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한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 정량화된 수치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게 합리적인 대처”라고 말했다. 14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에 후쿠시마 오염수 처분 이행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신속·투명하게 공유해 줄 것을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
벗 덕분에 쓴 기사입니다. 후원회원 ‘벗’ 되기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주식 후원’으로 벗이 되어주세요!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